X

이용호 의원 “과학고 졸업생 중 85%만 이공계 진학”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강민구 기자I 2021.01.25 12:14:25

학생 1인당 약 1050만원 예산 투입
"개인 진로 수단 활용은 국가적인 자원낭비"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지난해 과학고 졸업 후 이공계가 아닌 의대 등 다른 학부로 진학한 비율이 약 15%로 나타났다.

이용호 국회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2월 기준 전국 20개 과학고 총 1567명 졸업생 중 231명이 이공계 외 학부로 진학했다.

이용호 국회의원은 과학고 학생의 이공계 외 학부 진학은 국가적 자원낭비라고 지적했다.(사진=이용호 국회의원실)
이공계 외 학부로 진학률이 높은 상위 3개 학교는 △서울 세종과학고(졸업생 156명 중 44명, 28.2%) △울산과학고(졸업생 64명 중 48명, 25%) △경기북과학고(졸업생 98명 중 21명, 21.4%)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이공계 진학률이 높은 상위 3개 학교는 △인천과학고(졸업생 76명 중 72명, 94.7%) △경북경산과학고(졸업생 55명 중 52명, 94.5%) △충북과학고(졸업생 49명 중 46명, 93.8%)로 확인됐다.

현행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90조는 교육감이 특수분야의 전문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고등학교를 지정고시할 수 있고, 과학 인재 양성을 위한 과학계열의 고등학교로서 과학고를 명시하고 있다.

지난해 2월말 기준 전국 과학고에는 4396명이 재학중이다. 총 세입결산액 총 724억 3652만원 중 학부모 부담수입액인 263억 4830만원을 제외한 순세입결산액은 460억 8822만원이다. 학생 1인당 약 1050만원의 예산이 투입된 셈이다.

이용호 의원은, “과학고는 국가 차원에서 과학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만들어진 학교이지만, 졸업 후 이공계 외 학부로 진학해도 투입된 예산의 환수규정이나 이공계 의무진학 등의 규정이 없다”며 “과학고를 학생 개인의 진로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은 국민 감정에도 맞지 않고 국가적으로도 자원낭비이기 때문에 과학고 학사관련 제도개선을 서둘러야 한다”고 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