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금융硏 "코로나19 이후 부동산 등 자산시장 회복 넘어 과열"

이진철 기자I 2021.07.06 15:00:15

코로나19 대응 금융정책 평가 심포지엄
"금융업권 코로나19 영향 벗어나, 위험가능성 상시 점검"
"선진·신흥국 회복속도 차이, 맞춤형 통화·재정정책 필요"

금융연구원 제공
[이데일리 이진철 기자] 코로나19 이후 국내 주식시장은 경제회복과 맞물려 상승세를 유지할 전망이지만 부동산 등 자산시장은 회복을 넘어 과열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김영도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6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금융위원회·금융연구원이 개최한 ‘코로나19 대응 금융정책 평가 심포지엄’에서 “풍부한 시중유동성, 주택시장 각종 규제에 대한 내성, 개발기대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주택시장 등 자산시장은 과열 양상으로 판단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주가지수가 작년 3월 저점으로 최근 최고치를 경신한 것과 관련 “주요국 경제회복과 함께 국내 경제도 회복 및 확장 국면을 이어가며 국내 주식시장은 상승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최근 PER(주가이익비율), PBR(주가순자산비율) 등 주식시장 지표도 상대적인 가격회복을 반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금융업권은 현재 코로나19의 영향에서 표면적으로 벗어났다고 진단했다.

그는 “금융업권별 건전성, 수익성 등 점검지표들은 안정적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다만 일부 금융회사 또는 향후 위험가능성을 상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세계 경제가 코로나19 여파에서 서서히 벗어나고 있지만, 선진국과 신흥국 간의 회복 속도에 차이가 날 수 있다며 이에 맞는 통화·재정정책을 주문했다.

이와 관련 세계은행은 선진국의 94%가 2년 이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신흥국과 개도국은 40%만이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선진국과 신흥국간 불균형 상황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 인상 신호를 보내는 등 일부 국가가 이미 점진적 정상화 단계에 진입했다”면서 “이에 맞는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앞으로 취약 부문 지원은 선별적 정책이 가능한 ‘재정·금융정책’을 시행하고, 전반적인 경기 상황에 따라서는 ‘통화정책’을 구사하는 정책 조합을 구사하는 것이 여전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외환시장은 해외 금리 인상에 대비해 금융 취약성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면서 “국내 금융시장에서는 가계부채 문제 등 취약 금융 상황을 고려한 연착륙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