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베일 벗은 산업부 조직개편…3차관 체제 ‘매머드 부처’ 탄생

문승관 기자I 2021.07.29 13:00:00

내달 9일 시행하기로…‘에너지자원실→에너지산업실’로 확대
‘1실2국4정책관’ 확정…‘자원산업· 원전산업정책국’ 개편해
‘전력혁신·재생에너지·수소경제정책관’ 신설…약 24명 증원

[이데일리 문승관 기자] 3차관 체제의 ‘매머드 조직’으로 재탄생하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조직개편안이 베일을 벗었다. 산업부는 에너지 정책을 담당하는 에너지 전담 차관 산하에 ‘1실2국4정책관’을 두기로 사실상 확정했다. 지난달 29일 국회가 본회의를 열고 재적 208명 중 찬성 134명, 반대 65명, 기권 9명으로 산업통상자원부에 에너지 관련 정책을 전담하는 차관직 신설의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처리하면서 산업부도 조직개편에 속도를 냈다.

산업부 관계자는 29일 “법 개정으로 내달 9일 새 조직개편을 진행한다”며 “조직개편과 관련해 행정안전부, 기획재정부 등과 합의했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기존 에너지자원실을 ‘에너지산업실’로 개편해 2050탄소중립 에너지전환정책의 컨트롤타워로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에너지산업실에 ‘에너지전환정책관’과 ‘전력혁신정책관’, ‘수소경제정책관’, ‘재생에너지정책관’을 신설한다. 한시적으로 운영해온 신재생에너지정책단을 폐지하면서 신설하는 재생에너지정책관이 바통을 넘겨받기로 했다.

에너지 정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에너지자원실장 밑에 뒀던 자원산업정책관과 원전산업정책관을 각각 ‘자원산업정책국’, ‘원전산업정책국’으로 확대 개편한다. 과장급 직책도 전력계통혁신과, 재생에너지보급과, 수소산업과, 원전지역협력과 등 4개 과를 추가했다. 조직이 늘어나면서 에너지 관련 부서에는 약 24명가량 늘 것으로 보인다.

산업부는 애초 에너지 차관 밑에 ‘2실6국’을 배치해 100여명의 인력을 증원하는 개편안을 냈으나 행정안전부와 기획재정부가 난색을 보이자 ‘1실2국4정책관’ 체제로 바꿨다. 산업부는 지난 2005년 노무현 정부 시절 복수차관제를 시행했지만 문재인 정부 들어 제2차관 직제가 사라지고 통상업무를 전담하는 통상교섭본부(차관급)장을 신설했다.

기존 에너지분야를 담당하고 있던 제2차관직이 없어지자 관련 정책 추진에 어려움이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고 지난해 11월 문재인 대통령이 에너지 전담 차관을 신설하겠다며 법 개정을 추진했다. 예전 2차관 체제에선 1차관이 산업·무역분야, 2차관은 에너지·통상 분야를 담당했지만 이번에 에너지 차관이 에너지 전 분야를 담당한다.

산업부 안팎에서는 에너지 차관에 교수 등 외부발탁 가능성도 있지만 현재로선 주영준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이 가장 유력한 것으로 꼽고 있다. 주 실장(행시 37회)은 에너지기술팀장, 에너지신산업정책단장을 거쳐 2018년 11월부터 에너지자원 정책을 총괄하고 있는 에너지정책 분야 최고 전문가다.

이밖에 강경성 산업부 산업정책실장과 임춘택 전 에너지기술평가원장 등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임 전 원장은 현재 에너지분야 국가 싱크탱크인 에너지경제연구원장 최종 후보군에도 이름을 올렸다.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에너지 정책에 관해선 산업부 1급 가운데 주 실장을 대신할 인사가 없다는 게 일반적인 평가”라고 말했다.

국·장급 자리가 7개가량 새로 생기면서 에너지 정책라인의 인사에도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주 실장이 에너지 차관에 오르면 새로운 에너지산업실장에는 이호현 에너지혁신정책관, 유법민 자원산업정책관, 최우석 신재생에너지정책단장, 김대자 원전산업정책관 등이 후보군으로 꼽힌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