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근로·사업·재산소득 사상 첫 트리플 추락…코로나에 가계살림 직격탄

이명철 기자I 2020.08.20 12:00:00

2분기 가구당 소득 4.8% 증가, 재난재원금 지급 영향
근로자·자영업자 줄어 시장소득은 사상 첫 트리플 부진
정부 “추경 신속집행·내수활력 보완·뉴딜 추진에 총력”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한광범 기자] 코로나19발(發) 경제위기가 가계살림에 큰 타격을 미쳤다. 올해 2분기 근로소득은 사상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으며 사업소득과 재산소득도 일제히 줄었다. 그나마 경기부양을 위해 정부가 지원한 14조원대 긴급 재난지원금이 줄어든 소득을 떠받친 모양새다.

서울 중구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상담을 받으려는 사람들이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전국 2인 이상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27만2000원으로 4.8%(전년동기대비) 증가했다. 경상소득은 518만1000원, 비경상소득 9만원으로 각각 4.3%, 44.4% 늘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근로소득은 322만원으로 5.3% 줄면서 2009년 3분기(-0.5%) 이후 11여년만에 감소 전환했다. 금융위기 이후 꾸준히 증가하던 근로소득이 코로나19 충격으로 꺾인 것이다. 감소폭으로는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3년 이후 처음이다.

사업을 통한 소득이나 주택 임대 소득 등 사업소득은 4.6% 줄어든 94만2000원으로 지난해 4분기(-2.2%) 이후 2개분기만에 감소했다. 재산소득은 배당소득과 개인연금소득이 줄면서 11.7% 감소한 3만4000원에 그쳤다.

근로·사업·재산소득이 한꺼번에 감소한 것은 2003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코로나19 여파로 고용시장 환경이 악화돼 취업 인원이 줄고 근로자 가구 비중도 감소하면서 근로소득이 줄었다”며 “6월 산업활동 동향을 보면 자영업황이 부진하고 고용동향에서도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감소해 (사업소득 감소에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이전소득은 98만5000원으로 80.8%나 급증했다. 공적연금·기초연금·사회수혜금 등 공적이전소득은 77만7000원으로 127.9%나 늘었다. 가구간이전(용돈 등)인 사적이전소득은 2.1% 증가한 20만9000원이다.

이전소득 증가폭은 2003년 통계 작성 후 가장 높은 수준인데 2분기 정부의 긴급 재난지원금 지급이 영향을 줬기 때문이다.

정 국장은 “공적이전소득에서 사회수혜금 비중이 64.8% 정도인데 사회수혜금 대부분은 재난지원금이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전국민에게 지급한 재난지원금 효과가 근로·사업·재산소득 감소를 상쇄한 것이다.

가구의 경상소득·비경상소득을 포함한 총소득에서 조세·연금기여금·사회보험 등 비소비지출을 차감한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6.5% 증가한 430만1000원이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차감한 금액으로 저축, 자산 구입, 부채 상환 등에 사용할 수 있는 흑자액은 138만9000원으로 15.5% 늘었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율인 평균 소비성향은 2.5%포인트 하락한 67.7%다. 해당 수치는 가구의 소비 여력을 나타내는데 재난지원금 등으로 소득은 늘어난 반면 외출 자제 등이 소비에 영향을 줬기 때문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기재부 정책기획과 관계자는 “57만5000개 직접일자리 사업, 긴급고용안정지원금의 차질 없는 집행 등 취약계층을 위한 고용·사회안전망을 지속·강화할 것”이라며 “추경의 신속집행, 내수활력 보완, 한국판 뉴딜 추진 등 시장소득 회복을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소득 증감률 추이. 통계청 제공


`코로나19` 비상

- 전국 교정 시설 코로나 누적 확진자 1238명…동부구치소 10명 추가 - “담배 피우고 싶어”…코로나 격리 군인, 3층서 탈출하다 추락 - 주 평균 확진자 632명, 거리두기 완화 기대 커졌지만…BTJ열방센터 등 '변수'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