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김치·라면·샤인머스켓 떴다…작년 농식품 수출 75.7억달러 사상 최대

이명철 기자I 2021.01.05 11:00:00

코로나19 여파에도 전년대비 7.7% 증가, 신선·가공식품 호조
한류 활용 비대면 마케팅 성과, 김치·인삼 수출액 역대 최대
미국 수출국 2위로 껑충, 태국 등 신남방지역15억달러 수출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김치·인삼·라면 같은 신선·가공식품이 해외에서 인기를 끌면서 지난해 농식품 수출액도 사상 최고치를 달성했다. 샤인머스켓 같은 과일과 즉석밥 등 쌀가공식품, 장류 등 대부분 품목들이 고르게 성장했다. 코로나19로 세계 교역이 차질을 빚은 상황에서 한류 열풍을 활용한 비대면 맞춤형 마케팅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미국과 신남방지역 등 수출 다변화 성과도 거뒀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지난해 10월 21∼23일 베트남에서 개최한 ‘베트남 K푸드 수출 상담회’에 마련된 한국 농수산 식품 ‘선물 테마관’ 모습. (사진=aT)
건강·발효·간편식품 고른 수출 성장세 나타내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연간 농식품 수출액(잠정)이 75억7000만달러(8조2200억원)를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이는 전년(70억3000만달러)대비 7.7% 증가한 역대 최고 실적이다.

박병홍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은 “코로나19로 유통·소비 환경이 변화해 비대면·온라인 마케팅으로 신속 전환하고 물류·검역 등 수출업체 어려움을 해소했다”며 “코로나19 수혜 품목인 건강·발효·간편식품의 한류 연계 마케팅과 현지 맞춤형 상품개발 지원 등이 효과를 냈다”고 분석했다.

신선 농산물 수출액은 14억3000만달러로 3.4%(전년대비) 증가했다. 김치(1억4450만달러)와 인삼류(2억2980만달러) 수출이 각각 37.6%, 9.3% 늘어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발효식품인 김치와 건강식품 인삼류는 코로나19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주목을 받았다. 김치는 일본(7110만달러)·미국(2300만달러), 인삼류는 미국(2790만달러)·중국(8200만달러) 등에서 수출이 크게 늘었다.

과일 중에서는 포도(샤인머스켓) 수출액이 3120만달러로 32.8% 늘었다. 저온 유통체계와 수출 최저가격 관리로 성장세를 이어갔다. 유자차(5080만달러)도 미국에서 인기를 끌며 31.9% 증가, 처음으로 5000만달러를 돌파했다.

가공식품 수출액(61억4000만달러)은 라면·쌀가공식품 등 간편식품 호조로 8.8% 증가했다.

라면은 ‘짜파구리’ 등 한류 열풍과 편의성이 주목 받으면서 6억360만달러를 수출해 29.3% 증가했다. 일본(5450만달러)이 61.6%, 미국(8230만달러) 53.7% 각각 늘었다.

가공밥·떡볶이·죽 등 쌀가공식품은 가정간편식(HMR)이 인기를 끌면서 26.7% 늘어난 1억3760만달러어치를 수출했다. 이중 미국 수출액(5530만달러)이 53.4% 급증했다.

한류 영향으로 한식을 조리하려는 수요가 늘면서 고추장 등 장류 수출액(9990만달러)도 30.6% 늘었다. 고추장의 경우 35.2% 늘어난 5090만달러를 수출했다.

농식품 수출액 추이.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라면·김치·고추장 사들인 미국·신남방지역

수출 국가별로 보면 대(對)미국의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미국 수출액은 12억600만달러로 30.8% 증가하며 11억3800만달러에 그친 중국을 제치고 2위 수출국으로 올라섰다. 1위 수출국인 일본 수출액은 13억3800만달러로 가장 많은 수준을 유지했지만 1년새 6.2% 감소했다.

미국은 라면·김치·쌀가공식품 등 신선·가공식품이 수출이 호조를 보였다. 중국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연초 어려움을 겪었지만 하반기 유명 쇼핑몰(티몰) 한국식품관 신규 구축 등 온라인 유통·마케팅 지원으로 증가세를 나타냈다.

신남방 지역은 15억5500만달러를 수출해 9.1%의 성장세를 나타냈다. 정부의 신남방정책에 힘입어 라면·고추장 등이 인기를 끌어 권역별로는 수출액이 가장 많다.

국가별로 보면 태국(2억2090만달러)이 12.1%, 인도네시아(1억7920만달러) 5.6%, 필리핀(1억7630만달러) 32.2%, 인도(6990만달러) 31.0% 각각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면류가 가장 많은 1억5140만달러를 수출했다. 전년보다는 17.9% 늘었다. 소스류(5860만달러)는 14.1%, 낙농품(2860만달러) 37.0% 각각 증가했다.

박 실장은 “농식품 수출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토록 국가·품목별 온·오프라인 마케팅 전략을 마련할 것”이라며 “수출시장 다변화로 지난해 성과를 이어가도록 연초부터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국가(권역)별 수출 실적.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