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탄소배출 79% 줄여야 하는 산업계…"경쟁력 저하 없도록 지원 필요"

함정선 기자I 2021.08.05 11:32:04

정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초안' 발표
온실가스 배출량 따라 3가지 시나리오
산업계는 시나리오 상관없이 79.6% 감축해야
철강, 시멘트, 석유화학 등 연료 재생에너지 대체 등
수십조 비용 투입에 가격경쟁력 약화 우려

[이데일리 함정선 경계영 박순엽 기자] 정부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감축하는 내용을 담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초안’을 발표한 것을 두고 산업계에서는 방향성에는 공감하면서도 기반 마련과 지원이 선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위해 수십조원의 막대한 비용이 예상되는 만큼, 이를 감당하면서도 기업들이 수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탄소중립위원회는 2018년 기준 7억 2760만t에 이르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0t, 1870t, 2540t’으로 감축하는 3가지 시나리오를 담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초안’을 5일 발표했다.

각 부문 중 석탄발전을 전기로 대체하는 에너지 전환 다음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가장 많이 줄여야 하는 곳은 산업 부문이다. 특히 산업부문에서는 2018년 기준 2억6960만t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3가지 시나리오와 상관없이 무조건 5310만t까지 줄여야 한다. 79.6%에 이르는 감축이다.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철강과 시멘트, 석유화학·정유 부문의 원료 전환 등을 통해 이 같은 계획을 추진할 계획이다. 철강 산업에서는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100% 도입해 철광석을 녹이는 원료인 ‘코크스’를 수소로 대체하고 기존 고로를 모두 전기로로 전환하는 것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1억120만t의 온실가스 배출을 2050년 460만톤으로 95% 감축하는 것이 목표다.

산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시멘트 산업에서는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 등)와 수소열원 활용을 통한 연료 전환, 석회석 원료와 혼합재 사용을 통한 원료 전환 통해 3580만t의 온실가스 배출을 2050년 1610만t까지 55% 감축한다.

석유화학·정유 산업에서는 전기가열로 도입과 바이오매스 보일러 교체 등 연료 전환과 바이오·수소 원료 활용을 통한 납사원료 전환을 추진하고 6280만t의 온실가스를 1690만t으로 73% 감축할 계획이다.

이 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등 전력 다소비 업종의 에너지 효율화와 친환경 연·원료 전환 등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에도 나서기로 했다.

산업계는 이 같은 정부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방향성에는 대부분 동의하는 상황이다. 수출 의존도가 큰 기업들의 경우 글로벌 시장의 요구에 따라 탄소중립 전략을 세워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이번 온실가스 배출 감소 시나리오의 핵심은 화석연료를 대폭 줄이고 신재생에너지를 늘리는 것이다. 정부가 산업의 주요 감축 수단으로 내놓은 방안 역시 화석연료를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등을 활용하는 것이 주를 이룬다.

이 경우 기업들의 생산능력을 뒷받침할 수 있을 만큼 재생에너지 기반이 우선 갖춰져야 한다는 것이 업계의 우려다. 석유화학 업계 한 관계자는 “사실 국내에 재생에너지 자체가 그리 많지 않아 기업의 수요를 감당할 수 있을 만큼 비중이 커지는 것이 우선”이라며 “또한 재생에너지의 경우 생산이 불규칙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저장장치(ESS)와 같은 기반 마련도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산업부문 에너지 수요
이와 함께 해외 기업들과 경쟁할 수 있도록 전기료 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얘기도 나온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국내 기업들은 대부분 수출 기업으로 향후 재생에너지 사용 비용이 산업 전기료보다 높아진다고 하면 생산 원가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해외에서 가격 경쟁력이 약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편에서는 정부가 기술적 어려움이 많은 방안을 해결책으로 제시했다는 지적도 있다. 철강업계의 수소환원제철 기술이 대표적이다. 해당 기술은 연구개발(R&D)에만 5~7년, 1조원이 소요되는 등 비용이 막대하고 기술도 초기 단계라는 얘기가 나온다. 포스코는 수소환원제철 기술 전환에만 54조원이 들어갈 것으로 추정하기도 했다.

철강 업계 한 관계자는 “수소환원제철 공법은 아직 미완이고 기술적 안정화를 이루려면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2050년까지 꽤 많은 시간이 남았지만 현재로서는 100% 전환이 이상적인 계획이라는 평가도 있다”고 말했다.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위해 막대한 자금이 필요한 데다, 최근 유럽의 탄소세와 같은 무역장벽 등의 문제가 생길 것을 고려해 정부가 국가 차원의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유럽연합(EU) 등처럼 공동 기금을 마련하고 시장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주변국들과 연대하는 등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탄소중립을 시행한다면 글로벌 추세를 따라 보다 강력하게 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며 “다만, 인프라와 생태계 마련과 정책적 기반 등이 갖춰져야 기업들이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