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3차 TV토론]문재인 막아선 심상정, 유승민과 맞짱 토론..문재인 대변?(종합)

김영환 기자I 2017.04.23 22:22:54
23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S 본관에서 열린 중앙선관위 주최 대선후보 TV토론회에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와 정의당 심상정 후보가 대화하고 있다.(사진=국회사진기자단)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가 23일 3차 TV 대선 후보 토론회에서 유승민 바른정당 대선 후보와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질답 과정 중, 문 후보를 대신해 유 후보와 ‘맞짱 토론’을 벌였다. 문 후보에 대한 공세를 사전에 차단함과 동시에 유 후보에게 역공세를 벌이며 토론 평가 상위권간 빛나는 설전을 연출했다.

심 후보는 이날 KBS에서 열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최 대선 후보 합동토론회에서 유 후보가 송민순 전 외교부 장관의 회고록에 근거해 문 후보를 집중 추궁하자 “유승민 후보가 건전하고 합리적인 보수를 추구하는 분인 줄 알았는데 이 문제에서 중요한 것은 그래서 (참여)정부 결정이 잘된 거냐 잘못된 거냐 이거지 진실공방이 아니다”면서 유 후보를 막아섰다.

심 후보는 그러면서 “정치권이 남북 문제를 진실공방으로 끌고 들어가는 것은 고질병”이라며 “제가 그 당시 대통령이었다면 저는 기권결정을 했을 것이다. 새누리당 정권 10년동안 너무 적대적으로 대치 관계에 있어 상상이 안 되지만 그 당시는 남북이 평화로 가는 절호의 기회였다”고 밝혔다. 당시 참여정부가 북한 인권결의안에 ‘기권’을 던졌던 결정을 지지한 셈이다.

심 후보는 이어 “유 후보는 대통령이 되면 북한하고 대화 안 할 것인가. 적대적으로 하고 담을 쌓을 것인가”라고 도리어 밀어붙였다.

유 후보는 심 후보의 질문에 “제가 대통령이 되면 북한하고는 당장은 대화하지 않을 것”이라며 “지금 같이 핵 미사일이 위중한 시기에 무슨 결실을 얻겠다고 대화를 하겠나. 대화란 것은 힘의 우위를 바탕으로해야 효과있는 것”이라고 답했다.

심 후보는 이에 대해 “지금 같은 대치 국면에 유 후보가 대통령이 되서 (북한에) 만나자고해도 안 만날 것”이라며 “그 때(2007년) 상황은 6자회담이 동시에 열리고 또 여러 다채널로 얘기되고 남북관계가 전방위적으로 가장 대화가 활발했던 시기라 그런 결정을 내렸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은 것”이라고 다시 응수했다.

이어 “우리나라 정책 당국자들의 다수가 기권이고 자기(송민순 전 장관)만 찬성하는데 북한 의견 물어본 이후 다수 기조 바뀌었다면 그 얘기(송 전 장관 주장)가 타당하다”면서 “말 끝마다 이것을 북에 대한 태도로 몰고가는 색깔론이고 이를 극복하는 것이 보수가 새롭게 태어나는 우선적 기준이다. 전형적인 안보 장사지, 북한이 없었으면 보수가 선거를 어떻게 했겠나”고 덧붙였다.

유 후보가 이에 “왜 북한을 선거에 이용한다고 말하나. 북한 문제로 이렇게까지 얘기하는 건 심 후보와 문 후보가 똑같다는 것”이라고 지적하자 심 후보는 “문 후보와 엮지말고 저한테만 이야기하라”며 화살을 자신에게 집중시켰다.

유 후보는 “이런 중요한 문제를 두고 노무현 정부 안에서도 찬성한 적이 있는데 그 입장을 왜 바꾸냐”며 “심 후보는 앞으로 유엔인권결의안 문제가 나오면 계속 찬성할 것인가”라고 물었고 심 후보는 “보수 정권은 인권을 얘기할 자격이 없다”고 일축했다.

심 후보는 “북한 우유지원 산모지원 다 인도적인 지원인데 끊어서 양강도 어린이들이 얼마나 피해를 봤나”며 “반인도적인 행위를 서슴치 않고 해왔으면서 야당 비판할 때만 인권 문제를 들고 나온다”고 꼬집었다.

심 후보는 해당 주제 말미에 “이 문제에 대해서는 문재인 후보도 문제가 있다”며 “처음부터 당당하게 말했으면 이렇게 까지 되지 않았다. NLL이나 북한인권결의안 문제도 그렇고 모호한 태도가 정쟁 키우는 측면이 있다”고 문 후보의 태도에 대한 지적도 잊지 않았다.

제19대 대통령 - 문재인

- 文대통령, 통합행보 가속…19일 5당 원내대표 靑오찬회동 추진(상보) - 文대통령, 통합행보 가속…19일 5당 원내대표 靑오찬회동 추진(속보) - 문재인 대통령, 청와대 입주 늦어진 이유.. ''거울방'' 때문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