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교롭게도 앞선 아시아나항공과 이스타항공 인수전 때 무난하던 흐름이 실사를 기점으로 새 국면에 접어든 점도 이러한 전망에 힘을 싣는 대목이다. 대한항공이 분야별 전문가로 인수위원회를 구성해 100일 가까운 ‘현미경 실사’를 예고한 만큼 어떤 변수가 급부상할지에 업계의 시선이 모이고 있다.
|
이달 1일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50부는 KCGI(강성부펀드)가 한진칼(180640)을 상대로 낸 신주발행금지 가처분 신청을 기각했다.
법원은 제3자 배정 방식의 유상증자와 관련해 “한진칼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및 통합 항공사 경영이라는 경영상 목적 달성을 위해 필요한 범위에서 이뤄진 것”이라며 “현 경영진의 경영권이나 지배권 방어라는 목적 달성을 위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고 결론 내렸다.
업계 안팎에서는 법원 결정 이전부터 무난히 다음 단계로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흘러나왔다. 대한항공이 법원 판결 직전 왕산레저개발과 칼 리무진을 잇달아 매각하면서 ‘순리대로 간다’는 흐름이 읽혔다는 평가도 나왔다.
법원 문턱을 넘어선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통합 작업은 본격적으로 속도를 낼 전망이다. 우기홍 대한항공 사장은 법원 결정 이튿날(2일)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분야별 전문가로 인수위원회를 구성하고 아시아나항공 실사에 본격적으로 돌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우 사장은 “재무와 자재, 법무 등 모든 분야 걸쳐서 살펴볼 계획이며 아시아나 그룹사에 대해서도 실사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그는 “3월 17일까지 통합 계획안을 작성하기로 돼 있어 3개월 정도 실사하고 통합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며 “대한항공과 비교해 비용구조와 계약관계를 살펴보는 한편 아시아나항공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IB업계는 대한항공의 실사 과정이 아시아나항공 인수의 사실상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는 분위기다. 그룹 실적이나 부채 비율, 비용·계약 구조 등 적나라한 숫자를 실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서다.
아시아나항공 외에도 자회사인 저비용항공사(LCC)인 에어부산과 에어서울, 아시아나IDT, 아시아나세이버, 아시아나에어포트, 아시아나개발, 금호리조트, 금호티앤아이, 속리산고속 등 챙겨야할 회사도 광범위하다. 코로나19로 전례 없는 실적 악화가 더해진 상황에서 예상보다 실사에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는 견해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
앞선 항공사 인수 과정에서 실사를 매개로 상황이 급변한 전례도 무시할 수 없다. 시계를 1년 전으로 돌려보자. 지난해 11월 금호산업 이사회는 HDC현산·미래에셋대우 컨소시엄을 아시아나항공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이후 그해 12월 양측은 아시아나 항공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하면서 인수전이 무난히 흐르는 듯 했다.
그러나 HDC현대산업개발은 실사 과정에서 힘겨루기를 지속했다. 코로나19 국면이 이어지자 HDC현대산업개발은 올해 7월 12주에 걸친 아시아나항공 재실사를 요구했지만 산업은행 측이 ‘제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하면서 결국 매각이 결렬됐다.
같은 시기인 지난해 12월 18일 이스타항공 인수를 발표했던 제주항공도 두 달여의 실사 과정을 기점으로 이스타항공 주식 취득일을 미루더니 결국 인수의사를 접었다.
당시 아시아나항공 인수 실사에 나섰던 인력들은 실사가 본격화하면 새 국면에 접어들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한 항공업계 관계자는 “기밀유지협약(NDA)이 있어서 구체적인 부분을 말할 수 없다”면서도 “객관적으로 실사에 임한다면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녹록지 않을 것임을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도 악화일로를 걸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사이트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의 지난해 연결 결손금은 8805억원을 기록했다.
올해는 코로나19 쇼크로 항공업무가 멈추면서 실적이 더 나빠졌다. 아시아나항공의 올해 3분기(연결기준) 결손금은 1조4735억원으로 9개월 새 67%나 불어났다. 같은 기간 부채비율도 1386.7%에서 2308.7%로 급증했다. 가시적인 재무 상황이 한층 더 악화됐음을 암시하는 대목이다.
일각에서는 대한항공의 실사 작업이 어느 정도의 진정성을 갖고 임할 것이냐에 관심을 두는 분위기다. 법원 윤허까지 받으며 사실상 주인이 정해진 인수전에 시동이 걸린데다 정부의 지원사격을 등에 업은 산업은행이 딜 성사를 위해 전방위로 뛰고 있어서다. 속 시원하게 문제점을 지적하고 협상할 분위기가 아니란 것이다. 상황이 이렇자 실사 과정에서 생겨난 리스크 요인 때문에 딜이 엎어질 가능성 자체가 적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산은에서 아시아나항공 재무 리스크를 모르고 있지 않을 것이다”며 “실사 과정에서 발견된 여러 불안요소를 두고 대한항공과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어떻게 해결해 나갈지가 결국 관건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