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13개월만에 취업자 늘었지만…경제허리 30·40대는 26만명 줄었다

한광범 기자I 2021.04.14 10:42:28

3월 취업자, 기저효과·경기회복 영향 31만4000명 늘어
상용근로자 증가폭도 키워…일시휴직자 118만명 감소
30·40대만 취업자 감소 지속…"고용충격서 꺼내줘야"

지난 2월 서울 시내 한 대학교에서 졸업생들이 기념촬영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기업 인턴 및 채용정보가 부착되는 게시판이 비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세종=이데일리 한광범 원다연 기자] 지난달 취업자가 전년 동월 대비 13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코로나19 충격파가 컸던 지난해 3월의 기저효과가 주된 요인이었다. 다만 경제 허리인 30·40대 취업자는 줄어들어 심각한 청년층 고용상황을 그대로 반영했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692만 3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1만 4000명 증가했다. 취업자가 증가한 것은 코로나발 고용한파가 시작된 지난해 2월 이후 13개월 만이다. 이번 증가폭 규모는 지난해 3월 감소폭(19만 5000명)을 크게 웃돈다.

취업자 증가는 코로나19 충격이 본격화했던 지난해 3월 기저효과와 더불어 지난 2월 15일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에 따른 일부 업종의 고용 증가에 따른 것이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음식·숙박업, 교육서비스업 중심으로 지표가 다소 개선됐고 정부 일자리사업 영향 등으로 보건복지업 등 관련 산업에서 취업자 증가가 확대된 효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래프=이동훈 기자)
보건·공공행정, 취업자 증가…도·소매, 숙박 부진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17만 1000명을 비롯해,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9만 4000명, 건설업 9만 2000명이 각각 증가했다. 다만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의 경우 각각 16만 8000명, 2만 8000명이 줄어들어 부진을 이어나갔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좋은 일자리로 평가받는 상용근로자가 전년 동월 대비 20만 8000명 증가해, 지난해 8월(28만 2000명) 이후 증가폭이 가장 컸다. 임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도 각각 20만 6000명, 4만 1000명 늘었다. 또 일시휴직자도 118만명 줄어들어 지난해 1월 이후 14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686만 9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5만 4000명 감소했다. 지난해 2월 이후 첫 감소다. 비경 인구 중 그냥 쉰다는 사람은 243만 6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7만명 늘었다. 증가폭은 전달(21만 6000명) 대비 크게 감소했다. 취업준비자는 3만 1000명 증가한 84만 4000명이었다.

기획재정부는 “수출·내수 개선으로 민간 일자리가 회복되면서 후행지표인 고용도 코로나19 위기로부터 점차 벗어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그냥 쉰다’도 3040 3만 8000명 늘어

하지만 이 같은 고용 회복세 양상 속에서도 3040의 고용상황은 더욱 악화됐다. 연령별로 보면 3040을 제외한 다른 연령층에서 취업자가 모두 증가했다. 노인일자리 사업 등의 영향으로 60세 이상에서 40만 8000명이 증가해 전체 취업자 증가를 이끌었지만 30대와 40대의 경우 각각 17만명, 8만 5000명이 줄어들었다.

지난해 3월에도 각각 10만 8000명과 12만명이 줄어든데 이어 취업자 감소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냥 쉰다는 인구도 60대를 제외하고 30·40대에서만 3만 8000명이 늘었다. 정동명 국장은 “30대의 경우 제조업·협회단체 중심으로, 40대의 경우 도소매업, 숙박음식업에서 취업자 감소가 컸다”고 설명했다.

인구 감소를 감안해도 30·40대 고용상황은 매우 우려스럽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다. 신세돈 숙명여대 명예교수는 “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30·40대의 고용이 계속 무너지고 있다”며 “산업현장에서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할 30·40대들을 고용 충격의 늪에서 꺼내 줘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부는 고용시장의 가장 큰 리스크 요인인 방역상황이 여전히 엄중하다고 보고 최근의 회복세가 민간 일자리를 중심으로 지속·확대되도록 정책역량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민간에서의 좋은 일자리의 창출과 함께 그 일자리 창출·고용회복 시기를 최대한 당기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며 “4월 이후에도 고용개선이 이어질 것이며 그렇게 되도록 적극 대응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