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한계 이른 재택치료…"40대 이하 독감보다 약해 `재택요양` 전환해야"

양희동 기자I 2022.02.06 17:25:09

6일 재택치료 12만8716명…1주일새 2배 급증
재택치료는 60세 이상 고위험군 중심 전환 필요
팍스로비드 7일부터 50세 이상…연령 더 낮춰야

[이데일리 양희동 박경훈 기자]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대확산으로 하루 확진자가 4만명에 육박하면서, 재택치료 환자도 12만명을 넘어 관리 한계치에 근접하고 있다. 정부는 재택치료 환자에 대한 건강모니터링 횟수를 2~3회에서 1~2회로 줄여, 최대 관리가능인원을 16만명까지 늘린 상태다. 그러나 검사 양성률이 20%를 넘긴 상황에서 하루 확진자가 10만명을 넘길 경우, 재택치료 환자도 40만~50만명까지 급증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재택치료는 고위험군 위주로 유지하고, 일반환자는 스스로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일본식 ‘재택요양’이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지난달 30일 이후 이날까지 코로나19 재택치료 환자수 추이. (자료=보건복지부·단위=명)
6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전국 코로나19 재택치료 환자는 12만 871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정부가 제시한 재택치료 최대 관리가능인원 16만 3000명(관리 의료기관 532개소)의 78.96%에 달하는 수치다. 앞서 정부는 지난 3일 재택치료의 하루 관리모니터링(유선 및 모바일 앱) 횟수를 60세 이상 등 고위험군은 3회에서 2회로 줄이고 일반환자군은 2회에서 1회로 조정했다. 당초 지난달 말 정부는 하루 2만명 확진시 관리 가능한 최대 재택치료 환자수를 11만명으로 잡았지만, 불과 1주일새 한계치의 턱밑까지 차면서 모니터링 횟수를 줄인 것이다. 이를 통해 관리가능 규모를 50% 가량 늘린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하루 신규 확진자와 재택치료 환자 수가 불과 1주일새 2배로 늘어, ‘언발에 오줌누기’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신규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달 30일 1만 7532명에서 이날 3만 8691명으로 120.7%, 재택치료 환자는 6만 6972명에서 12만 8716명으로 92.1%나 급증했다. 또 이날 검사 양성률도 20.8%(18만 6014명 검사)로 올라가, 하루 최대 PCR 검사 역량인 85만명에 도달하면 신규 확진자는 17만명을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전문가들은 오미크론의 낮은 치명률(0.15%)를 감안해 재택치료는 고위험군에 집중하고, 나머지는 재택요양으로 전환하라고 입을 모은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지금의 재택치료라는 개념은 없어져야 한다. 독감 걸려도 다 치료 안 받는데 오미크론은 독감보다 전파력이 높아도 독성은 낮다”며 “본인이 스스로 검사해서 양성이 나오면 자가격리, 혹시 증상 있어서 필요하면 의료센터에 전화해서 연락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현재의 재택치료는 하루 확진자 2만명 수준에 맞춰져 있어, 지속적인 확진자 증가에 대비한 시스템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재택치료 관리는 하루 확진자가 1만 5000명에서 2만명 수준에서 전 연령대 관리가 가능하다”며 “확진자가 계속 늘어날 것이 분명해진 상황에서 40대 이하는 치명률은 독감보다 낮아 고위험군만 집중하는 형태로 바꾸는 게 맞다”고 말했다.

정부는 경증이 많은 오미크론의 특성을 반영해 재택치료 관리 역량을 확대해 나겠다는 입장이다.

최종균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재택치료반장은 “건강모니터링 횟수 조정과 기존 관리의료기관 역량 강화, 새로운 병원급 관리의료기관 도입 등을 통해 관리 역량을 확대해왔다”며 “코로나 환자가 계속 증가하게 된다면 고위험군 위주로 현행 체제를 유지 또는 강화해나가고, 경증·무증상자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재택치료 관리체계 개편을 진행해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먹는 치료제인 ‘팍스로비드’ 처방 대상의 추가 확대 필요성도 거론된다. 정부는 7일부터는 기존 60세 이상에서 50대 기저질환자까지 팍스로비드 투여 대상을 확대한다. 기저질환자 기준은 당뇨와 심혈관질환(고혈압 등), 만성신장질환, 만성폐질환(천식 포함), 암, 과체중(체질량지수(BMI) 25㎏/㎡ 이상) 등이다. 그러나 병용금지 약물이 28종에 달해 지난달 14일 첫 투약 이후 지난 3일까지 총 1275명분이 처방돼 하루 평균 투약자는 60.7명에 그치고 있다.

천은미 교수는 “50세로 확대한 먹는 치료제를 투약 연령을 18세까지로 대폭 낮춰 사망자를 줄어야한다”며 “18세라도 비만·천식 환자들은 고위험군이라 먹는 치료제 대상으로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757일만에 되찾은 일상

- 다 끝난줄 알았던 코로나…재유행 언제 오나요?[궁즉답] - 확진 7227명…지원금,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만(종합) - 코로나19 재정지원 축소…격리자 생활지원비·유급 휴가비 줄여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