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해외포커스]"코로나19 진정되면 신흥국 금융불안 유발 가능성"

김혜미 기자I 2020.05.31 12:00:00

미 연준 등 유동성 회수 과정에서 금융불안 가능성
금융불안 재현시 대외건전성 악화되면 디폴트 비율↑
식량수급 악화로 사회불안 가중되면 인플레 유발도

[이데일리 김혜미 기자]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된 이후 선진국에서 공급한 막대한 유동성이 신흥국의 금융불안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3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해외경제포커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신흥국 리스크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 극복 이후 국제기구나 선진국 중앙은행들이 유동성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국제 금융불안 같은 ‘의도치 않은 결과’를 유발할 수 있을 전망이다.

실제로 지난 2007년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 과정에서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유동성을 일부 회수하는 동안 주가 급락 등의 금융불안이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2009년 말 유럽 재정위기가 연이어 시작된 바 있다.

한국은행 제공
한은은 코로나19 확산 및 대응 과정에서 신흥국들의 기초경제여건과 재정상황 등이 악화됨에 따라 금융불안이 재현될 경우 신흥국들의 대외건전성 악화 우려는 지금보다 더 확대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렇게 되면 신흥국 정부나 기업들의 채무불이행(디폴트) 비율은 더 높아질 수 있다.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내년 3월까지 신흥국 내 투기등급 회사채의 디폴트 비율이 8.3%, 최대 13.7%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코로나19 진정 이후 전세계적으로 식량수급 악화에 따른 사회불안 가능성도 지적했다. 미국과 유럽, 인도 등에서 외국인 노동자 인력수급에 어려움이 나타나고 있으며, 비료 등 농업자재의 공급차질도 예상된다.

이에 따라 올 하반기 중에는 식량 수확량 및 식품 공급이 감소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식량부족 등 공급 불안은 신흥국의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경기회복 과정에서 수요가 빠르게 반등하는 재화와 서비스 공급이 지연될 경우 수급불균형에 따른 물가불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은은 코로나19 진정 이후 신흥국에 현실화될 수 있는 리스크를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단기간 내 신흥국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이 주요 신흥국들의 외환 및 금융부문 리스크를 살펴본 결과 일부를 제외하고는 은행부문 손실흡수 능력이 대체로 충분하고, IMF(국제통화기금) 등 국제기구의 적극적인 자금지원 가능성도 높다는 설명이다.

`코로나19` 비상

- 전국 교정 시설 코로나 누적 확진자 1238명…동부구치소 10명 추가 - “담배 피우고 싶어”…코로나 격리 군인, 3층서 탈출하다 추락 - 주 평균 확진자 632명, 거리두기 완화 기대 커졌지만…BTJ열방센터 등 '변수'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