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증시 요동치며 채안펀드 가동요구↑…"효과까지 시차 있어"

김보겸 기자I 2022.10.04 08:59:45

키움증권 보고서

[이데일리 김보겸 기자] 킹달러와 경기침체 우려로 국내 금융시장이 요동치면서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를 다시 가동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온다. 하지만 강도높은 긴축 사이클에서 시장 방향성을 전환시킬 수 있는 조치가 발표될 가능성은 낮다는 진단도 있다.

또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지난해 코로나19 등 과거 채안펀드 도입 때를 보면 정책 발표부터 실제 시장 안정화까지 시차를 두고 나타났다는 점에서 정책 지원 가능성을 기대한 투자전략도 실효성이 크지 않다는 지적이다.



키움증권은 4일 “추가적인 정책 지원 가능성을 기대한 투자전략은 지양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지난주 초까지 국내 증시와 환시, 채권시장은 이례적인 변동성 장세를 보였고 이에 금융당국은 일제히 시장 안정화를 위한 대응책을 발표했다.

국고채 금리는 한국은행의 단순매입과 기획재정부의 긴급 바이백 발표로 주 초반 상승분을 되돌렸고, 10월 국고채 발행계획에서 수급 부담이 추가로 완화되자 전주 대비 강세로 마감했다.

김준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당국의 시장 안정화 의지를 확인한 시장에서는 추가적인 정책 지원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며 “지난주 금융위원회가 주가지수 급락에 증안펀드를 꺼내들자 채권시장에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2020년 코로나19 위기 당시 회사채 시장 안정 차원에서 도입한 채안펀드 재가동 가능성을 열기 시작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다만 현 통화정책 기조에서 당국이 시장 방향성을 뒤집을 수 있을만한 지원책을 발표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봤다. 김 연구원은 “이 또한 사전예방적인 성격이라기보다 회사채 시장이 지금 수준보다도 더 크게 위축되거나 경색이 심화됐을 경우 사후적으로 가동할 가능성이 높아보여 정책 지원 가능성을 염두한 투자전략은 실효성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짚었다.

채안펀드를 도입하더라도 실제 효과 발생까지는 시차가 걸린다는 점에도 주목했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한국은행은 10월부터 정책금리를 인하하며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했다. 이후 2009년 2월까지 3개월만에 정책금리를 5.25%에서 2%까지 내렸다. 첫 금리 인하 단행 시점에 국고채 3년물 금리는 5%에서 등락했지만 크레딧 스프레드는 회사채 AA-등급 3년물 기준으로 260bp(1bp=0.01%포인트) 수준을 기록했다.

시장금리는 하락한 반면 회사채 시장이 계속 경색되자 정책당국은 11월13일 채안펀드 가동 계획을 발표, 12월 말부터 실제 채안펀드 운용을 실시해 회사채 시장에 자금을 공급했다.

이후에도 크레딧 시장은 약세를 보였다. AA- 등급과 A+ 등급의 스프레드 차이는 채안펀드 가동 발표로부터 약 3개월 뒤인 2009년 2월12일 67.7bp를 고점으로 축소 전환됐다. 김 연구원은 “하위등급에 낙수효과가 발생하기까지는 더 긴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 연구원은 “향후 크레딧 시장 내 급격한 변동성 확대나 자금 경색 확산시 당국이 안정을 위한 개입 가능성을 열어둘 수는 있겠으나, 이에 대한 기대로 수립하는 투자전략은 주효할 것이라 보기는 어려우며 방어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