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성의 금융CAST]10%도 안되는 부자들의 기부 비율

김유성 기자I 2020.10.31 11:00:00

90% 이상이 자녀 상속 계획 있지만, 사회 기부 계획은 소수

[이데일리 김유성 기자] 부자들은 자신의 부를 늘리는 것 만큼 보전하는 것에 대해서도 관심이 높다. 언젠가 그들도 이 세상을 떠나기 때문에 남아 있는 후손들에 물려주면서, 자신이 일군 부가 남길 바란다.

그렇지만 자신의 자산 일부라도 사회에 환원한다는 생각은 그리 높지 않았다. 젊은 부자일 수록 일부 사회 환원에 대한 생각은 있었지만 그 비율은 10%를 넘지 않았다.

자료 : KB금융경영연구소 ‘2020 부자보고서’
KB금융경영연구소가 펴낸 ‘2020 부자보고서’를 보면, 금융 자산 10억원 이상 보유 자산가들 중 33%는 자신의 부를 후손 등에 증여하거나 상속할 계획을 갖고 있었다. 이 비율은 나이가 많을 수록 높아 60대 이상 부자들 중 46.9%가 ‘구체적이거나 대략적인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자신의 부 일부 혹은 전체를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응답한 자산가들의 숫자가 예전보다 늘고 있다고 하지만, ‘기부하겠다’는 의향이 있는 부자들의 비율은 적은 편이었다. ‘자신의 자산 일부를 기부하겠다’고 의사를 밝힌 경우는 6.8%다.

‘자산의 전부를 증여할 것’이라고 답한 경우가 15.2%, ‘자산의 전부를 상속할 것’이라고 답한 비율이 14.4%란 점을 고려하면 매우 적은 비율임에 틀림 없다.

다만 위안인 점은 젊은 부자일 수록 사회환원의 의지를 가진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40대 이하 자산가들 중 9.5%로 전체 6.8%보다 높았다.

상속이나 증여는 누구한테 할까. 주된 대상으로 ‘자녀’가 93.9%로 거의 전부였다. 배우자에게 주겠다고 답한 경우도 58.3%, 손자·손녀가 31.8%였다. 자산 규모가 클 수록 손자·손녀에게도 물려주겠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형제·자매들에게 주겠다고 답한 비율은 4.5%로 적었다.

결론적으로 부자의 자녀나 손자·손녀가 아니라면 상속이나 증여를 받기 힘들다는 뜻이다.

부자가 증여·상속하려는 자산은 현금이 많았다. 세금 면에서 현금이 다른 자산보다 유리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거주하거나 거주하지 않는 부동산, 유가 증권 등도 있었다. 사업 자산을 물려주려는 계획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속과 증여를 받을 수 있는 ‘아빠나 엄마’가 있다는 점은 어떤 이점을 갖게 될까.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고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명확하게 드러난다. 2018년 기준 금융 소득(이자+배당) 2000만원이 넘는 미성년자가 1771명이었다. 이들이 신고한 금융소득은 총 1890억원으로 1인당 1억원이 넘었다.

부자가 되기 위한 종자돈으로 기본 5억원을 생각하는 자산가들이 많은데, 이들 ‘엄빠 찬스’ 미성년자는 태어나서 5년만 참아도 종자돈이 모인다.

2018년 임금 근로자들의 월 평균 소득은 297만원, 중위 소득(정가운데)은 220만원이었다. 그나마 임금 소득이 있는 이들이 매월 이 정도 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