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사태 소강 국면…상업용 부동산은 경제 펀더멘털 관건"

이은정 기자I 2023.03.28 07:53:38

하이투자증권 보고서

[이데일리 이은정 기자] 글로벌 은행 사태가 소강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진단이 나왔다. 신용 위기 확산 우려로 급락하던 국채 금리는 큰 폭 반등했다. 향후 경제 펀더멘털이 잠재 위험으로 거론되는 상업용 부동산 모기지 담보대출(모기지) 부실 여부를 좌우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하이투자증권은 28일 지난주 급등했던 유럽 주요국 은행 CDS 가 반락한 점을 짚었다. 퍼스트 리퍼블릭은행 매각과 더불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와 유럽중앙은행(ECB) 인사들의 신용위기와 관련된 유화적 발언도 영향을 미쳤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라가르드 ECB 총재와 미 연준 인사들도 은행 시스템의 건전성을 강조한 발언을 잇따라 하면서 금융시장 불안을 달래고 있다”며 “미 정부와 연준이 은행기간대출프로그램(BTFP)으로 알려진 은행 대출 프로그램을 확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 역시 뱅크데믹(Bankdemic·은행과 팬데믹의 합성어) 공포를 진정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신용위기 확산 우려로 그 동안 급락하던 국채 금리도 큰 폭으로 반등했다.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 이후 130bp(1bp=0.01%포인트) 이상 급락했던 미국 2년 국채 금리는 27일 약 23bp 급반등하면서 4% 수준에 재차 육박했다. 유가 역시 큰 폭으로 반등했다. 한때 배럴당 66달러 수준대까지 하락했던 유가는 27일 5% 이상 반등하면서 72.8달러까지 상승했다.

박 연구원은 “은행발 신용위험 전염리스크와 관련하여 강조했던 TED 스프레드(미국 3개월 국채 금리와 리보금리(유로달러)의 차이) 역시 점진적이지만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도 긍정적”이라며 “SVB, 크레디트스위스(CS)에 이은 미국과 유럽 은행들에 대한 신용위험이 아직은 전방위로 확산되기보다 다소 소강국면에 접어들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 신호”라고 말했다.

다만 잠재적 위험이 해소된 것은 아니란 의견이다. 상업용 모기지 대출 및 사모펀드(PEF) 부실 리스크, 냉각된 자금시장 및 뱅크런 우려 지속 등은 여전히 신용 위험을 언제든지 확산시킬 수 있는 잠재 위험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경제 펀더멘털이 은행발 신용 위기 확산 여부를 가를 것으로 봤다.

박 연구원은 “잠재 위험으로 지적되는 상업용 모기지 대출 부실 리스크 등도 경기 흐름에 크게 좌우될 것이기 때문”이라며 “즉 경기 급랭으로 상업용 오피스 공실률 및 연체율이 급등할 경우 은행 부실 리스크가 결국 현실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금융안정, 특히 경기 경착륙발 금융불안을 막기 위한 미 연준 등 중앙은행의 금리인상 사이클 피봇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질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신용 위기 확산 우려에도 최근 달러 약세 및 유로 강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미 연준의 금리 인상 사이클 피봇 기대감이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란 판단이다.

박 연구원은 “글로벌 자금이 아직은 신용위기 확산에 따른 극도의 안전자산 선호보다는 미 연준의 금리인상 사이클 중단에 따른 신용위기 완화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이라며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를 되돌아보면 리먼 파산 등 신용위험이 고조되는 국면에서는 달러화 강세 현상이 나타났지만 미 연준의 유동성 확대 정책이 추진되면서 달러화가 약세 전환됐음을 상기해볼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