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전경련, "글로벌 공급망 컨트롤타워, 민관합동으로 확대·개편해야"

배진솔 기자I 2021.11.28 11:00:00

전경련, 산업 경쟁력 제고 위한 차기정부 정책과제 발표

[이데일리 배진솔 기자] 글로벌 공급망 재구축을 위해 전략물자 선정·모니터링·정책 결정 컨트롤 타워인 ‘국가 전략물자관리 위원회’를 민관합동으로 확대·개편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28일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차기정부 정책과제’ 15개를 제시하며 이같이 밝혔다.

전경련은 정부와 민간이 함께 국민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전략물자를 점검·선정하고, 업계 현안 및 애로사항을 청취해 중장기 발전 방안을 마련하도록 국가 전략물자관리 위원회를 ‘국가전략물자관리 민관합동 특별위원회’로 확대 개편할 것을 제안했다. 또 전략물자의 국내 생산을 결정한 기업에 대한 손실보전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동맹국과의 연계를 통해 공급망 위기를 공동대처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경련은 “코로나19 장기화와 미·중 갈등 격화로 국내 글로벌 가치사슬(밸류체인)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어, 경제·산업 필수물자 공급망 관리로의 재편이 요구되고 있다”며 “미국의 경우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가장 먼저 공급망을 조사해 혁신경쟁법을 마련했으며, 일본도 공급망 다변화 지원 예산을 확대하고 동맹국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등 공급망 재구축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은 첨단기술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투자 확대와 지원정책을 추진 중이다. 미국은 중국의 부상에 대응해 미래 첨단기술 분야에 5년간 최소 2000억달러(약 223조 원) 투자와 반도체 생산 확대 인센티브 및 연구개발(R&D) 지원을 포함한 ‘미국 혁신경쟁법’이 상원을 통과했다.

또 전경련은 정부와 민간이 함께 전략산업을 발굴하고 자금지원, 중장기 기술 청사진을 논의해 로드맵을 수립하는 한편, 투자 세제지원을 과감하게 확대(세액공제율 최대 50%)하는 내용을 담은 ‘국민경제전략산업육성특별법’을 제정할 것을 건의했다.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의 경우 수소, 드론 등 개별 특별법 형태로 시행되고 있으며 주요 전략산업의 종합 지원정책이 부족한 실정이다. 반면 중국은 2035년까지 국가전략 차원으로 7대 첨단 과학기술 R&D 예산을 매년 7년간 증액하고, 인프라에 2025년까지 10조 위안(약 1714조 원)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주요국 서비스업 글로벌 부가가치 점유율 (자료=OECD 2019년 기준)
여기에 서비스 산업 육성의 제도적 기반 구축을 위해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을 조속히 통과시킬 것을 제안했다. 전경련은 서비스산업 기본계획, 위원회 설치, 연구개발 활성화, 인력양성 방안, 타 산업과 비교해 차별적 요소를 지속 발굴 해소하는 것 외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 고부가가치 창출산업에 대한 체계적 지원을 법안 내 포함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서비스 산업은 코로나19로 직접적인 타격을 입었지만 자영업자 피해보전 등 개별적 지원책이 중점을 이루는 상황이다. 혁신 서비스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원의 기반이 될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은 10년 가까이 국회에서 표류 중으로, 법적 지원기반이 미흡해 체계적이고 근본적인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 전경련의 주장이다.

마지막으로 관광산업 컨트롤 타워를 설립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 관광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육성할 것을 제안했다. 전경련은 “최근 K팝과 K콘텐츠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짐에 따라, 코로나19 이후 관광산업 활성화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며 “10여 개 부처에 분산된 관광행정기능을 통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관광 컨트롤 타워 마련을 제안한다”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