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인터뷰]통합당 김기현 “친노처럼 폐족 선언하고 치열하게 반성하자”

김겨레 기자I 2020.05.22 06:00:00

4선 성공한 김기현 미래통합당 당선인
"지도체제 공백? 한 달만에 될 것 같았으면 참패했겠나"
"김종인 나쁘지 않지만 임기 길어선 안 돼"
"전당대회에 청년 나오면 가산점 줘야"
"與, 법사위 권한 축소할 바엔 국회 없애라"

김기현 미래통합당 당선인이 21일 서울 여의도 사무실에서 이데일리와 인터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김겨레 기자]“친노(親盧)세력은 2007년 대선 패배 뒤 폐족임을 선언하고 9년만에 전면 복귀했다. 그 전까진 조용했다. 미래통합당도 급할건 없다”

6년만에 국회로 돌아온 김기현 통합당 당선인은 21일 이데일리와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통합당이 4·15 총선 참패 뒤 아직까지 지도체제를 정하지 못했다는 지적에 대해 “한 달만에 쉽게 재건할 수 있었을 것 같으면 참패했겠나”며 “한 달이든 6개월이든 우리 스스로 돌아보고 치열하게 고민하고 반성하는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통합당, 공부를 안 해..우파 논리로 무장해야”

김 당선인은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체제에 대해 “나쁘지 않은 카드라고 생각한다”면서도 “통합당의 정체성과 얼마나 부합하는지는 확신이 없다”고 했다. 그는 “기초 체질이 안 되는데 얼굴을 바꾼다고 되겠나”라며 “김종인 비대위를 굳이 반대하진 않지만 기간은 너무 길지 않아야 한다”고 언급했다. 연말까지 비대위에 당 수습을 맡기고, 늦어도 내년에는 통합당이 스스로 당대표를 선출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당선인은 총선 참패의 가장 큰 원인에 대해 “공부를 안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 당 의원들은 공부 좀 해야 한다”며 “우파적 논리로 무장해 어떤 이슈든 싸울 수 있어야 하는데 대응이 안 된다”고 언급했다. 이어 “더불어민주당엔 공부 모임도 많다. 그런데 통합당은 그런 공부하자는 분위기가 없다. 그래서 전문성을 가진 비례대표도 역량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한 두달 안에 당을 재건할 수 있다면 애초에 참패를 당하지도 않았을 것”이라며 “처절하게 낮추고 공부해 우파 정책을 제대로 개발하는 중장기 레이스를 뛰어야 한다. 대선까진 시간이 많이 남아 있다”고 했다.

◇“30·40대, 당대표 나오면 가산점 주자”

과거 소장파로 꼽혔던 김 당선인은 울산시장을 거쳐 21대 국회에서 4선 중진 의원이 된다. 그는 “소장파를 키우기 위한 병풍이 되겠다”고 했다.

김 당선인은 “통합당의 30·40대는 스스로 실력을 쌓지도 않았고 당 역시 그들을 키울 시스템이 없었다”며 “현재 1명인 청년 최고위원을 더 늘릴 뿐 아니라 청년 당대표가 되겠다는 사람이 있으면 전당대회에서 과감하게 가산점을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전당대회를 100% 여론조사로 하는 것도 방법”이라며 “민주당은 당세가 강하므로 당심을 반영해도 되지만 우린 당세가 취약한데 당심만 중심으로 전당대회를 하면 확장성이 없다”고 말했다.

보수 진영이 인물을 키우지 못했다는 지적 대해 김 당선인은 “지도자들이 자신의 경쟁자가 될까 싶어서 견제했던 경향이 있다”고 인정했다. 그는 “어렵지만 ‘오픈 시스템’으로 가야 한다”며 “사람들이 서로 경쟁해서 리더를 만들고 옹립해야 한다”고 했다. 또 “민주당의 인재 양성은 일종의 카르텔 성격으로, 장단점이 있다”며 “자기들의 ‘이너서클’에 있는 사람은 철저히 비호하고 악착같이 자리를 만들어서라도 챙기는 것이다. 인물을 키울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민주주의엔 해악이 된다”고 분석했다.

◇“與 ‘일하는 국회법’은 거수기 국회법”

180석의 거대 여당과 통합당의 관계 설정에 대해선 “이제는 투쟁하고 드러눕고 고함을 질러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어차피 여당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국민을 상대로 직접 호소해야 한다”고 했다.

김 당성인은 민주당이 추진하는 ‘일하는 국회법’을 ‘거수기 국회법’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체계자구심사 권한을 폐지하겠다는 것은 슈퍼 갑질이다. 재벌의 중소기업 후려치기”라며 “그 작은 견제조차 받기 싫다면 차라리 국회를 없애는 것이 낫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