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웰스투어] "땅값 많이 오른 평택·제주...아직도 두배 수익 노릴만 하다"

노희준 기자I 2016.06.04 07:00:00

'노후·저성장시대 투자법' 부산 강연
당 투자땐 도로·입지 등 따져봐야
인구 늘고 있는 '세종·제주' 주목
투자수익은 타이밍보다 '자산배분'

[부산=특별취재팀] 길어진 노후와 저성장 시대의 투자법에 대해 전문가들은 거침없이 노하우를 쏟아냈다. 서울에 이어 부산까지 이어진 재테크 강연의 열기는 뜨거웠다. 3일 부산 동구 KB아트홀에서 진행된 ‘제5회 이데일리와 함께 하는 웰스투어in부산’에선 좀 더 전문화·세분화한 강연이 이어졌다. 300여명의 청중들은 하나라도 더 배우겠다는 열기를 내뿜으며 숨죽이고 전문가의 말 한 마디 한 마디에 집중했다.

전문가들은 “재테크 노하우는 생각보다 쉽고 가까운 곳에 있다”며 “돈에 대한 관심을 두면서 어려운 부분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분산투자로 리스크 대비”

첫 포문을 연 김의신 부산은행 WM사업부 팀장은 “인생 100세 시대 자산관리는 절약보다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팀장은 “정기예금 금리가 20%가 넘었던 시절이 있었지만 이젠 예금으로 투자하는 시대는 끝났다”며 “저금리와 세금·물가상승으로 실질금리가 사실상 제로(0)에 가까워 1년 동안 예금을 해도 이자가 없거나 손해를 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분산투자를 통해 투자위험을 줄이고 적정 수익을 얻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분산투자 땐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팀장은 “투자수익은 ‘타이밍’이 아니라 ‘자산배분’이 더 중요한 요소”라며 “분산투자를 통해 변동성을 줄이면 손실이 날 확률을 줄일 수 있고, 평균 이상의 수익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4% 확정금리 예금’에 100원을 투자했을 때 10년 후 누적 수익은 148원을 기대할 수 있고, ‘변동성이 큰 주식’에 투자했을 땐 원금 그대로일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두 자산에 50원씩 투자하면 10년 후 220원이 될 수 있다는 것이 김 팀장의 설명이다.

◇“땅은 실패할 가능성이 적다…기본만 지켜도 두 배 수익률”

전은규 대박땅꾼 부동산연구소장은 “사업은 부도가 날 수 있지만 땅은 실패할 가능성이 낮다”고 말했다.

그는 △땅 모양 △도로 인접 여부 △토지 용도 △입지 등 조건만 알고 있다면 토지 투자를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전 소장은 “이미 땅값이 많이 올랐다고 생각되는 평택이나 제주도 등에도 찾아보면 투자할 만한 땅이 많다”며 “기본적인 요소들만 확인하면 두 배 수익률을 거두는 것도 어렵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처음 토지 투자에 관심을 둔 투자자는 국가산업단지, 도로 및 철도, 인구 등 3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지역을 선택하라고 조언했다. 개발 규모가 큰 국가산업단지에 인접한 지역(약 3㎞ 이내)일 수록 투자 수익률이 높고, 도로나 철도가 있어야 투자 가치가 있다는 설명이다. 또한 인구가 줄어드는 지역이 아닌 세종시나 제주도처럼 인구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지역에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해난 펀드 즉시 처분”

박규석 KEB하나은행 VIP PB팀장은 “최근엔 투자 상품의 유효 시간이 짧아졌다”며 “담당 PB가 적극적으로 관리를 해주지 않더라도 스스로 주기적으로 펀드를 갈아타야 한다”고 말했다. 박 팀장은 “투자는 예측이 아니라 100% 대응”이라며 “투자의 판단이 틀릴 수 있다는 전제로 즉각적인 반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급변하는 투자 시장에서 살아남으려면 믿을 수 있는 정보원을 가져야 한다”며 “하지만 대부분 사람들은 돈에 대해 자문해줄 수 있는 사람이 없다. 돈에 대해 계속 관심을 둬야 시장 참여자로서 투자에 성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금과 같은 저금리 시대에는 투자 수익률 1%도 중요하다. 그는 “연 수익률이 1% 밖에 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다”며 “하지만 1%의 수익률도 장기로 누적이 되면 큰 차이를 불러올 수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50대 이전 3층 연금으로 60대 이후엔 주택연금 필요”

김태우 한화생명 은퇴연구소 부소장·연구위원(CFP)은 “국민연금만으로는 노후 생활비가 턱없이 부족하다”며 “국민연금과 노후생활비 차이가 월 최소 56만에서 최대 160만원까지 차이가 나는데 이 틈을 줄이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김 부소장은 “비임금근로자의 최저 적정 노후생활비와 국민연금 평균수령액의 차이가 최대 월 160만원(부부)이 발생한다”며 “국민연금만으로 부족한 은퇴 후 필요생활비를 개인연금으로 보완할 필요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김 부소장은 헬스푸어 대비를 위한 상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60세 이상 고령자의 실손보험 가입률이 다른 나이에 비해 매우 저조하다”며 “특히 노후 대비 상품(연금, CI 등)보다 보험료가 저렴한 상해보험 위주로 가입하고 있어 실손보험이나 중대질병보험 등 노후 대비에 적절한 보험 포트폴리오 구성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특별취재팀 팀장 금융부 문승관 차장, 성선화·박기주 기자, 사진부 한대욱 기자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