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널뛰기 하는 美국채금리…10년물 금리 다시 4.1%

김상윤 기자I 2023.08.08 06:11:02

이번주 1030억달러 국채 경매 관건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채권금리가 계속 오르락 내리락 하고 있다. 10년물 국채 금리는 지난주 한 때 4.2%까지 치솟은 이후 4%까지 초반까지 하락하다 7일(현지시간) 4.1%까지 다시 올랐다. 투자자들은 오는 10일 발표될 소비자물가 보고서를 기다리며 투자 방향을 찾고 있다.

10년물 국채수익률 추이 (그래픽=CNBC)
7일(현지시간)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기준 10년물국채금리는 전장대비 35bp(1bp=0.01%포인트) 오른 4.097%를 기록하고 있다. 연준 정책에 민감한 2년물 국채금리는 1.4bp 떨어진 4.777%를 나타내고 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미국의 재정건전성 우려가 커지면서 지난 3일 장중 4.198%까지 치솟았다. 2022년 11월 8일 4.224%를 기록한 이후 9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다. 지난 4일 고용지표가 일부 둔화 조짐을 보이면서 긴축 부담이 완화돼 다시 4.042%까지 내려가긴 했지만 이날 다시 4.1%까지 올랐다.

미 정부의 재정건전성 우려가 장기금리를 끌어올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달 31일 미 재무부가 발표한 차입계획과 채권발행 계획에 따르면 3분기 차입 규모는 1조70억달러다. 지난 5월 발표한 계획(7330억달러)보다 무려 2740억달러 증가한 규모로, 시장 예상치(8000~9000억달러)를 크게 웃돈다.

미 재무부는 또 오는 15일 만기되는 840억달러 규모 중기·장기 국채 차환 발행을 위해 1030억달러어치 국채를 입찰한다고 발표했다. 종전 960억달러 대비 발행액이 늘어난 것이다. 공급이 늘어 가격이 하락했고, 가격과 반대로 움직이는 금리는 상승한 것이다.

국채 발행 물량이 늘어난 건 재정적자 때문이다. 세출보다 세입이 적어 적자가 확대했고 미 정부는 이를 국채 발행을 통해 메우고 있다. 또 앞서 저금리에 발행했던 국채에 대해서도 만기도래시 금리가 높아진 국채로 차환해 이자부담이 커졌고, 이 역시 국채 발행으로 해결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나랏빚이 그만큼 많아진다는 의미여서 피치의 지적처럼 채무상환 능력에 대한 불안도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10일 발표될 소비자물가 보고서에 따라 채권시장의 변동성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월가에서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전월(3.0%) 대비 소폭 오른 3.3%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 및 식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상승률은 4.7%다. 전월(4.8%)보다 소폭 내린 수준이다. 인플레가 치솟았던 작년에 비하면 상당부분 오름세가 둔화되긴 했지만, 장기간 인플레이션이 유지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이 ‘긴축 종료’를 선언하려면 물가 및 고용시장 둔화 관련 뚜렷한 데이터가 더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번주 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총 1030억달러어치 국채 경매에서 시장이 받아주지 않고 발행금리가 오른 다면 채권시장 불안이 다시 커질 수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