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사설] 조류 인플루엔자에 속수무책인 현실

논설 위원I 2016.12.06 06:00:00
전국이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AI)로 홍역을 치르고 있다. 강원도 철원군 농장까지 AI가 확산된 사실이 확인됐다는 것이 농림축산식품부의 발표다. 강원도에서도 AI 확진 판정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어서 충격적이다. 이로써 AI는 영남 지역을 제외하고 전국적으로 창궐하고 있는 모양새다. 방역당국이 긴장의 끈을 놓아서는 안 되는 이유다.

물론 AI 발생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지난해와 지지난해에도 AI에 따른 피해가 심각했다. 그러나 올해는 사정이 더욱 심각하다. 이번에 전국을 강타하고 있는 H5N6형 바이러스가 지난해 극성을 부린 H5N8형보다 파괴력이나 전파력이 훨씬 강력하기 때문이다. 지난 10월 28일 충남 천안 지역에서 H5N6형이 처음 확인된 이후 불과 한 달여 만에 전국이 이 바이러스에 뻥 뚫린 것만 봐도 알 수 있는 일이다.

(사진=연합뉴스)
지금으로써는 영남지역도 안심할 수만은 없다. AI 매개체인 겨울 철새가 도래지인 영남으로 계속 날아들고 있는 데다 AI에 걸린 야생조류 분변 찌꺼기가 유입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가뜩이나 추운 날씨에 닭·오리의 면역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AI 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리면 가금류 피해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현재까지 살처분한 가금류가 340만 마리 가까이 이른다는 게 방역당국의 설명이다. 지금 추세대로라면 살처분 가금류가 400만 마리를 넘는 것도 시간문제다.

AI의 피해가 연례행사처럼 되풀이되고 있지만 근본대책은 없는 것인지 답답하기만 하다. AI 확산으로 애꿎은 철새를 탓하고 농가의 가금류 살처분과 주변 소독, 차량이동 제한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것이 정부 대책의 전부다. 새떼를 따라 날아서 유입되는 바이러스를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이제는 총체적 관리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발생 지역에 따라 대응하기보다는 중국 등 아시아 전역을 대상으로 AI 발생 감시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또한 AI 진단과 처방을 개선하기 위한 작업도 이뤄져야 할 것이다. 농가 피해는 물론 지자체의 살처분 매몰비용, 정부 보상비용 등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주는 AI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고병원성 AI 확산

- `벌써 900명`…A형간염 확산 조짐, 20~40대 `위험군` - `흰색 달걀 못 보나`…고병원성 AI에 미국산 계란 수입 전면 금지 - `AI 또 비상`…전북 고창서 10일새 3건 발생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