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美긴축·中쇼크 코스피 발목…2004년에 무슨 일이?

이은정 기자I 2022.05.21 07:07:34

코스피 올해 13% 하락…"2004년 조정국면과 유사"
中사스·이라크 전쟁에 경제둔화+물가 급등 속 금리↑
3개월간 23% 급락후 바닥…中CPI정점, 한은 금리인하
"차이점은 당시 中대응 선제적, 정부공조 물가 억제"

[이데일리 이은정 기자] 코스피가 매크로(거시경제) 악재 해소 전까지 ‘기간 조정’에 갇힐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인플레이션 압력 속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중국발(發) 경기둔화 우려가 이어지는 가운데 과거 유사 환경에서의 증시 흐름에 관심이 쏠린다.

코스피가 전 거래일보다 33.64포인트(1.28%) 내린 2,592.34에 마감한 19일 명동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21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코스피는 지난 19일 종가 기준 전 거래일보다 1.28% 내린 2592.34에 거래를 마쳤다. 올해 들어서는 12.94% 하락한 수준이다. 이달 들어서는 52주 신저점을 경신하며 종가 기준 2600선마저 붕괴됐고, 3거래일을 제외하고 모두 하락세를 보였다.

연준이 큰 폭 금리인상을 외치며 ‘인플레이션 파이터’로 나섰지만,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우려까지 번지고 있다. 연초부터 장기화하고 있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중국 ‘제로 코로나’ 봉쇄 정책 등이 복합적으로 맞물렸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경제가 정치적 갈등으로 블록화되고 있는 점도 불확실성 요인으로 꼽고 있다.

KB증권은 2004년 5~8월 코스피가 고점 대비 23.1% 급락했을 당시에도 △중국 사스로 인한 충격 △연준 긴축 △경기 둔화가 맞물렸던 점을 짚었다. 2002년 말 중국에서 사스가 확산되고, 미국 등에서도 일부 사스 사망자가 발생하면서 세계 경제는 급격히 둔화됐다. 특히 충격이 컸던 중국은 강력한 신용확대 정책을 펼쳤고, 대규모 인프라투자를 단행했다.

2003년 3월엔 이라크전쟁이 발발했다. 중국 경제의 회복까지 맞물리며 유가는 고공 행진했고, 중국 물가도 급등했다는 설명이다. 중국 투자와 대출이 과열양상을 보이자, 당시 원자바오 총리는 2004년 4월28일 신규 프로젝트 허가 및 대출을 전면 금지하는 강수를 썼다. 경기가 바닥을 찍은 지 약 1년 뒤의 일이다. 2004년 6월 연준은 닷컴버블 붕괴 이후 첫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이은택 KB증권 주식전략 연구원은 “2004년엔 올해와 비교해 단기간에 급락했는데, 당해 4월 말 코스피 조정이 시작됐고 8월 초 고점 대비 23% 급락한 후 바닥이 나왔다”며 “당시 바닥은 경기둔화 우려 희석, 한국은행 금리인하, 저평가, 외국인 순매수에 힘입어 나타났다”고 말했다.

반등 사유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국 경기가 우려보단 견조했고, 중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정점(7월)을 찍으면서 연착륙 전망이 커진 점 △당해 8월 한국은행 금리인하 단행 △코스피 주가수익비율(PER)이 5.5배로 저평가 매력이 커졌고, 외국인 순매수가 유입된 점이다.

아울러 현 국면과 당시와의 차이점으로는 △원자바오 총리의 대응은 선제적이었던 점(경기바닥+1년의 법칙) △정부가 공조해 물가를 억제했던 점을 꼽았다.

이 연구원은 “이번에도 작년 1분기(경기 바닥+1년)엔 긴축이 나왔어야 했지만, 이미 늦어버렸다”며 “정부가 물가 해소에 공조를 나서는 것은 아직 남은 옵션이다. 이민자 고용 확대, 셰일 채굴확대, 관세인하, 소비억제 등을 통해 연준과 공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바이든 정부가 이런 공조에 나선다면 인플레이션 억제 의지는 시장에서 좀 더 높은 평가를 받겠지만, 최근 물가를 잡는 것은 연준의 역할이라고 선을 그었다”며 “이민자 확대, 원유 채굴 등을 허용하는 것은 중간선거를 앞두고 적지 않은 정치적 부담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