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갭투자의 경고…'전세끼고 집사기' 부메랑 맞다

박민 기자I 2019.02.12 03:30:00

지방 이어 서울도 '깡통전세' 주의보
기존 보증금 보다 낮아진 전셋값에
전세 교체 시기에 전세금 못 갚아
급매물 늘어 집값 하락 이어질 수도

서울 강남구 일대 아파트 전경.(연합뉴스 제공)


[이데일리 박민 기자] 한 때 유행처럼 번지던 부동산 갭투자(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투자 방식)가 부메랑을 맞게 됐다. 집값 하락과 입주아파트 공급과잉 현상이 맞물리면서 전셋값이 큰 폭으로 떨어지자 세입자에게 내줄 보증금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갭투자는 전셋값과 집값의 얼마 안되는 가격차(갭)를 이용해 최소의 자본금으로 집을 사는 투자방식이다. 2년 전인 2017년 초만해도 전국 아파트 평균 전세가율(집값 대비 전셋값 비율)은 75%를 넘어서면서 전세보증금을 제외하고 3000만~4000만원을 투자해 집을 사는 투자자들이 급증했다. 당시 무주택자들까지 갭투자 행렬에 뛰어드는 사례도 빈번했다.

이는 부메랑이 돼 돌아오고 있다. 최근 전셋값 급락에 전세가율이 떨어지자 2년 전 전세끼고 집을 산 갭투자자들이 세입자에게 내줘야 할 전세보증금 마련에 문제가 생긴 것이다. 집을 내놔도 팔리지 않자 일부 갭투자들은 급매물로 내놓고 있지만 이마저도 쉽게 팔리지 않아 전전긍긍하고 있다. 결국 답답한 세입자가 전셋집을 경매로 내놓거나 보증보험을 요구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경매정보회사 지지옥션에 따르면 임차인이 법원에 아파트 강제경매를 신청한 건수는 2017년 141건에서 지난해 221건으로 56.7%나 급증했다. 전세대출 보증기관인 서울보증보험과 주택도시보증공사가 집주인 대신 세입자에게 돌려준 보증금도 지난해 1607억원으로, 2017년(398억원)의 4배를 넘었다.

특히 지난해 지방에서 속출한 깡통전세 우려는 서울, 경기 지역까지 확산되는 분위기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경기지역에선 안산시 전셋값은 2년 전에 비해 14.4% 빠지는 등 하락폭이 커지고 있다. 서울 지역도 아파트 전셋값이 15주 연속 내림세를 보이는가 하면 강남4구의 경우 2년 전보다 0.82% 떨어져 역전세난이 현실화하고 있다.

장근석 지지옥션 팀장은 “임차인이 보증금을 돌려받기 위해 신청한 경매는 일명 깡통전세로 분류한다”며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는 경매로 넘어간 낙찰금액이 임차인 전세금(채권청구액) 보다 낮은 깡통주택가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