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사설]쪼그라든 중국 비즈니스, 돌파구 찾아야

논설 위원I 2021.09.08 05:00:00
국내 대기업들의 대중국 비즈니스가 2016년 이후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매출 자체가 줄어든 가운데 현지 법인들의 타격이 특히 컸던 것으로 드러났다.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중국의 반발로 경제 제재가 장기화되면서 국내 산업계에 불똥이 튄 데다 미·중 무역분쟁 격화로 대중 주력 수출품목인 반도체 등이 큰 피해를 입었기 때문이라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전경련이 매출 100대 국내 기업 중 관련 자료를 공시한 30대 대기업의 실적을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중국 매출은 2020년 117조 1000억원으로 2016년(125조 8000억원)에 비해 6.9% 줄었다. 2016~2019년 수출입은행의 해외직접투자 경영분석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중국 법인 전체 매출이 2016년 1870억달러에서 2019년 1475억달러로 21.1%나 쪼그라든 것으로 밝혀졌다. 시장 개척과 판로 확대를 앞당기기 위해 설립한 현지 법인들이 유·무형의 장애에 부닥쳐 더 고전을 면치 못했음이 확인된 셈이다.

조사 결과는 대중국 비즈니스 전반에 대한 재검토가 시급함을 시사한다. 사드 갈등에서 비롯된 제재가 주요 원인이지만 경제는 물론 정치·외교·군사 등 여러 면에서 미·중간의 갈등이 계속되고, 우리의 선택폭이 좁아진 상황에서 중국과의 교역·투자에 단기간에 큰 전기를 기대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운신이 비교적 자유롭긴 해도 일본 기업들의 중국 법인 매출은 2019년 47조 1000억엔으로 2016년 대비 1.1% 감소에 그쳐 한국 기업들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2010년대 중반 우리 수출의 25%를 차지했을 만큼 기여도가 크고 잠재력이 풍부한 중국 시장을 군사·안보 갈등에 묶여 축소 일변도로 방치할 수는 없다. 정부는 정부대로 양국간 공식·비공식 채널을 풀 가동해 외교적 리스크를 줄이는 한편 기업들의 현안 해결에 앞장서야 한다. 기업들도 한한령을 넘어 중국 시장을 지켜내고 더 확대할 수 있도록 품질·가격 등의 경쟁력 강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 자동차·화장품·휴대폰 등 중국 시장을 주름잡던 한국산 인기 상품의 퇴조는 우리 기업들에도 책임이 없지 않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