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환율안정·자금경색에 확 달라진 시장 기류…11월 금통위, 베이비스텝 기울어[금통위폴]②

이윤화 기자I 2022.11.21 04:30:11

24일 한국은행 금통위, 채권시장 전문가 11명 설문조사
환율·물가 안정, 자금시장 경색 힘 실리는 속도 조절론
최종금리 수준 3.5~3.75% 예상 하반기 인하 가능성도↑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약 보름 만에 시장의 시각은 완전히 바뀌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최종 금리 상단이 5.0%를 넘길 수 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던 이달 초까지만 해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금리를 4.0%까지 올릴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지만, 원·달러 환율 급등세가 진정되고 단기자금 시장의 경색 현상이 이어지면서 긴축 속도 조절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물가도 중요하지만 자금경색을 푸는 게 급선무라는 것이다. 내년 하반기쯤에는 경기 침체에 대응해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란 전망도 늘어나고 있다.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경기둔화, 유동성 경색에 대내 안정 고려…11월 베이비스텝 전망

이데일리가 오는 24일 열리는 11월 금통위를 앞두고 국내 증권사 11곳의 애널리스트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11명 중 10명이 기준금리를 3.25%로 3.0%에서 0.25%포인트 인상할 것이라고 밝혔다. 빅스텝(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을 예상한 의견은 1명에 그쳤다. 5%대 후반의 고물가와 미국의 최종금리 상단 전망이 최소 5%대로 올라선 상황은 그대로다. 하지만 두 차례의 빅스텝으로 경기둔화 우려가 확대됐고, 급격한 긴축으로 단기 금융시장의 ‘돈맥경화’가 나타나면서 속도 조절론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미 연준의 긴축 속도 완화와 물가 안정 흐름도 한은의 부담을 덜어주는 요인이다. 연준은 4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단행했지만, 12월부터는 금리인상 속도 조절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난달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도 전년 대비 7.7%를 기록해 시장전망치(7.9%)를 하회하면서 ‘킹달러’ 현상도 주춤해졌다. 연고점 기준 1440원대까지 치솟았던 환율은 1340원선으로 하락했다. 김지만 삼성증권 연구원은 “물가상승률의 완화, 누그러진 달러화 강세, 성장률 하방 위험 증대 등으로 이달 금통위에서 만장일치 0.25%포인트 인상을 결정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번달 금통위에서 ‘금리 동결’ 소수의견이 나올 것이란 의견도 나왔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11월 금리 0.25%포인트 인상을 전망하는데 긴축영역 진입에 따른 속도 조절 인식을 고려해 동결 소수의견이 1명 정도 등장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은의 금리 속도 조절 분위기는 금통위 내부에서도 감지된다. 금통위 내 대표적 매파(통화 긴축 선호)로 알려진 서영경 위원은 지난 15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국민경제자문회의·한국금융학회’ 공동 주최 정책 포럼에서 “지난 10월 기준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한 만큼, 지금은 대내 금융안정에 초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앞서 박기영 금통위원도 “지금은 통화정책 결정에 있어 금융 안정도 고려해야 할 때”라며 속도 조절에 힘을 실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0월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최종금리 3.75% 전망…내년 하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

채권시장 전문가들이 전망한 한은의 최종 금리 전망치는 3.75%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이번 금통위와 내년 두 차례 인상 이후 금리 인상 사이클이 종료될 것으로 봤다. 이 보다 낮은 3.5% 최종금리를 점치는 시각도 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연준의 긴축 사이클 끝이 다가온다는 인식과 함께 원·달러 환율이 안정적으로 움직일 경우 금통위는 내년 2월 금리를 동결해 최종금리는 3.5%가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하듯 단기 지표 국고채 3년물 금리는 3.8%대로 떨어졌다. 통상 국채 3년물 금리가 기준금리에 대한 시장 컨센서스보다 0.25%포인트 가량 높게 형성된다는 걸 감안하면 3.5%나 그보다 조금 높은 정도에서 금리 상단이 결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는 의미다.

내년 하반기에는 금리를 인하하는 쪽으로 한은의 통화정책 기조를 틀 것이란 목소리는 더 커졌다. 이번 조사에서 11명 중 6명이 내년 금리 인하를 점쳤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 연준이 빠르게 금리 인하 기조로 전환하기는 힘들 수 있지만, 경기 침체와 유동성 리스크 등에 따라 (미시 정책적인) 완화 조치가 있을 수 있다”며 “미 연준의 움직임에 따라 한국도 금리 인하 대응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다만 내년 연말까진 한은이 연준과의 금리 격차, 고물가를 꺾기 위해 동결 기조를 유지할 것이란 의견도 5명이나 돼 팽팽하게 맞섰다. 김지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경기 부진이 심화하더라도 한미 금리 역전폭이 큰 상황에서 연준이 기준금리를 내리지 않는 한 선제적인 인하는 자본유출 등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