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美신재생에너지 ETF 수익률 '뚝뚝'…"장기 성장성 봐야"

이은정 기자I 2021.07.22 00:24:21

ICLN·TAN·QCLN·PBW ETF 수익률 주간 6~10%↓
재료 소멸에 친환경주 단기 하락…"장기 봐야"
국내 그린산업 고성장 전망…전기차·수소·태양광 '맑음'

[이데일리 이은정 기자] 글로벌 주요 국가에서 탄소중립 정책이 강화되는 등 친환경 바람이 불고 있는 가운데 미국에 상장된 신재생에너지 상장지수펀드(ETF) 수익률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이는 상승 재료 소멸에 따른 단기 변동성으로 중장기적으로는 상향 곡선을 그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장기적으로 고성장이 예상되는 그린산업에도 관심이 쏠린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블로그)
21일 ETF닷컴에 따르면 주요 신재생에너지 ETF들이 지난 한 주간(7월12~16일) 일제히 감소했다. 이 기간 ‘iShares Global Clean Energy’(ICLN)은 -5.9%, ‘Invesco Solar’(TAN) -10.1%, ‘First Trust NASDAQ Clean Edge Green Energy Index’(QCLN) -8.2%, ‘Invesco WilderHill Clean Energy’(PBW) -9.7% 등 전반이 하락세다.

이들 종목은 대체로 유럽연합(EU)의 ‘핏 포 55’ 등이 발표되기 전까지 오르다가 지난 주 하락 전환했다. EU집행위원회는 14일(현지시간) 2050년까지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중간단계인 핏 포 55 입법 패키지를 공개했다.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55% 감축(1990년 대비)한다는 내용을 포함한다.

친환경 관련주가 탄소중립 패키지 발표 이후 차익 실현을 지속하면서 수익률 감소세도 두드러지는 것으로 풀이된다. 박기현 SK증권 연구원은 “하반기 들어 발표된 가장 중요한 환경 정책인 만큼 기대감에 따른 주가 상승과 재료 소멸에 따른 주가 하락이 뚜렷했다”며 “정책의 강도가 전반적으로 금융시장이 기대한 것만큼 강하지 않았던 점도 약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미·중 갈등도 신재생에너지 ETF 약세의 요인으로 꼽힌다. 미국은 중국 최대 폴리실리콘 생산지 중 하나이자 글로벌 폴리실리콘 생산의 35%를 책임지고 있는 신장위구르자치구의 제품 수입 금지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ETF 중 상당수가 중국 기업에 노출돼 있어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ETF별 중국 노출도는 ICLN 6.6%, TAN 20.3%, QCLN 17.4%, PBW 9.2% 이르렀다.

미국 신재생에너지 ETF ‘ICLN’ 가격 차트.(사진=ETF.com)
또 친환경 사업 핵심 원자재는 경기 정점 우려에 가격 변동성이 커졌다는 평이다. 박 연구원은 “경기 변동에 민감한 구리 가격은 지난 5월부터 꾸준히 하락세”라며 “원자재 가격 안정을 위한 중국 정부의 정책(금융기관의 원자재 매수의견 금지, 구리 등 광물 비축분 공급)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다만 단기 변동성에도 중장기적으로는 상향 곡선을 그릴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EU 탄소 배출권 가격도 신재생에너지 ETF와 마찬가지로 EU의 핏 포 55 발표 이후 소폭 하락했다. 이는 정책 발표에 앞서 유럽 발전 기업들이 배출권 매집에 나서는 등 움직임에 따른 결과로 해석했다.

장기 전망은 밝다. 시장조사업체 ICIS는 에너지 가격 상승과 무료 배출권 할당 비율 감소로 EU 배출권 가격이 2030년 톤당 90유로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16일 개장한 중국의 전국 단위 탄소배출권 거래소의 가격도 오름세다. 거래 첫날 시가 대비 6.7% 오른 51.2위안에 마감한 데 이어 19일 52.3위안, 20일 53.3위안에 마감했다.

탄소중립 정책이 속도를 내면서 장기 고성장이 예상되는 그린산업에 관심이 쏠린다. 국내에서도 전기차·수소차, 수소산업과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업체들이 글로벌시장 확대 속 고성장이 지속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와 연비 규제, 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한 클린에너지 의무비율과 목표치 달성을 위해서 필수적인 업종으로 꼽힌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초기에 규제와 지원정책을 통해 국가들이 인위적으로 시장을 조성하지만, 일정 시점부터는 그린산업이 자체 경쟁력을 통해 기존산업을 잠식한다”며 “풍력·태양광이 발전단가의 하락을 기반으로 천연가스·석탄발전과 원전을 대체하고 있고, 전기차·수소차도 2035년 전후 내연기관차를 완전 대체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