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경기둔화 우려·금리하락에…美경기소비재·금융 ETF 자금 유출

이은정 기자I 2021.07.21 00:10:00

경기둔화 우려에 경기소비재 'XLY' 5거래일 연속 하락
금융 ETF 'XLF'는 일일 2.8% 내려…국채금리 하락 영향
"증시 변동 당분간 지속…미 경제 2Q 정점 둔화·금리상승 동력↓"

[이데일리 이은정 기자] 코로나19 재확산 공포와 경기회복 둔화 우려에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확산되며 글로벌 증시가 출렁이고 있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한때 5개월래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금융주와 코로나19 타격이 큰 경기소비재 관련주 부진이 두드러지는 양상이다. 이에 관련 미국 주식형 상장지수펀드(ETF)에서도 자금 유출과 수익률 하락이 나타나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 제공)
20일 ETF닷컴에 따르면 미국에 상장된 경기소비재 ETF인 ‘Consumer Discretionary Select Sector SPDR’(XLY)는 19일(현지시간) 전 거래일보다 1.15% 내린 175.97달러를 기록했다. 5거래일 연속 하락하며 -3.07% 빠졌다. 지난 한 주간 순유출 규모는 5억달러를 넘어섰다.

XLY가 담고 있는 업종 비중을 살펴보면 소매 업종 31%, 호텔·엔터테인먼트 20%, 기타전문 소매업체 19%, 자동차·부품 18%, 섬유·의류 6% 등이다. 개별 종목별로 살펴보면 아마존 24%, 테슬라 13%, 홈디포 9%, 나이키 5%, 맥도날드 5%, 스타벅스 4% 등 비중으로 담고 있다.

같은 날 금융 ETF인 ‘Financial Select Sector SPDR’(XLF)는 2.80% 하락한 35.11달러에 마감했다. 지난 15일을 제외하고 13일부터 하락세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 한 주간 유출 금액 규모는 4억7300만달러에 이른다. 이 종목의 업종 비중은 은행 서비스 45%, 보험 30%, 투자은행 21% 등이다. 개별 종목으로는 버크셔 해서웨이 13%, JP모건체이스앤컴퍼니 12%, 뱅크오브아메리카 7%, 웰스파고앤컴퍼니 4%, 씨티그룹과 모건 스탠리, 블랙록, 골드만삭스 각각 3%대를 담고 있다.

경기소비재·금융 ETF의 하락세는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둔화 우려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일일 평균 확진자 수가 약 3만명으로 약 한 달 전인(1만1000명) 대비 크게 늘었고, 19일(미 동부시간) 뉴욕 증시 3대 지수를 일제히 끌어내렸다. 이에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1.2%를 하회하며 지난 2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위험자산인 주식에서 자금이 빠져 채권으로 몰리면서 금리 하락 압력을 높였다.

이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의 경기소비재 섹터는 1.13% 빠졌다. 필수소비재(-0.31%) 대비 낙폭차가 두드러진다. 금융 업종은 -2.80%를 기록했다. 항공주와 크루즈 업종, 레저, 소매판매 업종 주요 종목들도 모두 부진했다. 갭과 디즈니는 각각 2%대, 3%대 빠졌다. 국채 금리 급락 여파에 JP모건이 3%대, 씨티그룹이 2%대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경기 둔화 우려에 따른 글로벌 증시 변동성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 기조도 금융시장과 실물경기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주시하는 분위기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5년 금리와 5년 뒤 5년 내재 포워드 금리로 구성되는데, 즉 금리 하락은 연준의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가 경제 성장동력을 떨어뜨릴 거란 전망이 반영됐다는 해석이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6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미10년은 1.50%에서 7월 초 1.35%까지 하락했는데 동 기간 5년은 1bp(1bp=0.01%포인트) 상승한 반면 5Y5Y는 16bp 급락했다”며 “내년 시작될 연준 테이퍼링이 금융시장 긴축, 경제 성장 둔화 전망이 반영됐기 때문이다. 2분기 정점으로 둔화될 미 경기 사이클도 장기금리를 떨어뜨리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미 경제에 대해서는 올 2분기를 정점으로 둔화, 올해 7%안팎 성장률은 내년 3% 초중반으로 둔화될 것으로 봤다. 10년물 금리을 유의미하게 상승시킬 동력은 단기적으로 크지 않다는 분석이다. 이 연구원은 “미 10년물 금리가 1.70% 이상 회복되기 위해선 내년 예산규모 증가, 연준 자산매입 확대 등 변화가 필요하지만 현재로선 가능성이 낮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