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선제대응' Vs '과잉조치'…비수도권 거리두기 강화할까

박철근 기자I 2021.07.25 05:30:05

중대본, 25일 비수도권 거리두기 조정계획 발표
비수도권 확진자 비중 24일 37.0%…확산세 선제대응 필요
지자체별 상황 달라…인원모임 제한 등 핀셋 조치 가능성도

[이데일리 박철근 기자] ‘민생이냐 방역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코로나19 4차 유행이 전국적으로 확산하는 가운데 비수도권의 거리두기 강화조치가 25일 결정된다.

25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비수도권의 거리두기 강화조치를 논의하고 결과를 발표한다. 수도권의 경우 거리두기 4단계를 오는 26일부터 내달 8일까지 2주간 연장적용키로 했다.

특히 최근 비수도권 신규확진자 비중이 일주일째 30%대를 기록 중이다. 지난 24일에는 4차 대유행 이후 최고치인 37.0%로 나타나는 등 비수도권 확진자 증가세를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다만 지방자치단체별로 상황이 다른 가운데 거리두기 단계를 일괄적용하는 것이 무리가 따른다는 의견도 있어 중대본의 고심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강원도 강릉시는 지난 19일부터 비수도권 지역 중 최초로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를 적용하고 있다. 24일 경포해수욕장 백사장의 한산한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일주일째 30%대…휴가철 맞아 선제조치 필요

코로나19 4차 유행이 전국으로 확산하면서 비수도권 확진자 비중(국내발생 신규확진자 기준)은 지난 18일 이후 7일째 30%대를 기록했다.

특히 24일에는 37.0%로 4차 대유행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중대본이 25일 논의·발표 예정인 비수도권의 방역 대책에서는 거리두기 3단계 일괄 격상, 오후 6시 이후 3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등 다양한 방안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비수도권 신규확진자 발생현황을 살펴보면 부산이 114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남 111명 △대전 68명 △대구 52명 △강원 46명 등이 뒤를 이었다.

비수도권 지역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수도권보다 상대적으로 약하고 피서철 등을 맞아 이동인구가 많아진 탓으로 풀이된다. 일부지역의 경우 유흥업소 등 집단감염이 발생한 것도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비수도권 신규확진자 증가를 유념해서 봐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비수도권 지역도 ‘3단계+α’와 같은 강력한 조치가 있어야 전국적 확산을 조금이나마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비수도권 코로나19 신규확진자 현황. (자료= 중앙방역대책본부)


“지자체마다 상황 다른데...”

거리두기 일괄 상향조정이 지역경제를 침체시킬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코로나19 4차 대유행 이후 전국 모든 곳(광역지자체 기준)에서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지만 주로 피서나 휴가지로 인기있는 지방에 국한하고 있다는 것.

방역당국에 따르면 23일 현재 비수도권 지역 가운데 강원도 강릉시는 이미 4단계를 적용하고 있다.

3단계 거리두기를 적용하고 있는 곳도 △대전 △부산 △제주 등 광역지자체 세 곳과 △전남 여수 △강원 양양 △강원 원주 △경남 김해 △경남 거제 △경남 함안 △경남 진주 △경남 창원 △경남 통영 △경남 양산 등 기초지자체 열 곳 등 총 13개 지자체다.

방역당국의 한 관계자는 “거리두기는 확진자수, 감염재생산지수 등 방역지표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침체 등과 같은 경제적 측면도 고려할 수밖에 없다”며 “소위 유명 피서지역 등이 있는 지자체는 선제적으로 거리두기 단계를 상향조정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여름 휴가철을 맞아 거리두기 단계가 약한 곳으로 피서객들이 모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거리두기 단계조정은 기준에 맞추는 경우도 있지만 추가 확산을 우려해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측면도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수도권처럼 거리두기 단계를 상향조정하기보다는 저녁인원모임 제한 등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한 소위 ‘핀셋 방역조치’를 발표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7월 23일 현재 지역별 사회적 거리두기 현황. (자료= 중앙사고수습본부)


코로나19 백신 전쟁

- [속보]코로나19 백신 2차 신규 접종자 10.7만명, 누적 77.6% - 모더나 백신, 젊은 남성 심근염 위험 화이자의 5배 - 강기윤 의원 “코로나 백신 이상반응 지원 위해 2470억원 증액 필요”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