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제넥신, KG바이오 기술이전 선급금 네 번째 연기…협업관계 문제 없나?

김새미 기자I 2024.01.09 10:08:43

현금 여력 충분한데도 뚜렷한 이유 없이 선급금 지급 미뤄
이달 내 GX-E4 글로벌 임상 환자 투약 후 선급금 수취 기대
계약금 지급 미루는 파트너사와 신뢰·협업 지속 가능할까?

이 기사는 2024년01월04일 10시08분에 팜이데일리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제넥신(095700)의 첫 상용화 신약이 될 지속형 신성빈혈치료제 ‘GX-E4’(제품명 에페사)의 아시아 지역 현지 생산부터 유통까지 책임질 파트너사 KG바이오가 기술이전 선급금 지급을 네 번이나 연기했다. KG바이오가 현금 여력도 충분한 상황에서 선급금 지급을 미루는 뚜렷한 이유를 제시하지 않고 있어, 앞으로의 협업 관계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인도네시아 출시를 준비 중인 ‘에페사’ (사진=제넥신)
4일 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제넥신은 지난달 29일 장 마감 후 공시를 통해 GX-E4를 기술이전받은 KG바이오와 지난달까지 받기로 했던 선급금(upfront) 800만달러(약 98억원)를 이달 내에 수령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KG바이오의 기술이전 선급금 지급 연기는 이번이 벌써 네 번째다.

KG바이오, 기술이전 선급금 지급 네 번째 연기…왜?

앞서 KG바이오는 2015년 12월 GX-E4를 300만달러(약 37억원)에 기술이전 한 후 마일스톤을 포함한 계약금 전액을 지불 완료했다. 2022년 3월에는 GX-E4의 개발권리 지역을 확장하는 1300만달러(약 160억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새롭게 체결했다. 이번에 지급이 연기된 선급금은 해당 계약에 포함된 선급금 800만달러(약 97억원)이다. 선급금이 총 계약 규모의 절반을 넘는 계약 구조다.

해당 선급금은 인보이스(Invoice) 발행 후 60일 이내 수령할 예정이었다. 인보이스란 거래상품명세서로 매매 계약 조건을 정당하게 이행했다는 의미로 계약상대방에게 보내는 문서다. 통상적으로 기술이전 선급금은 기술이전 계약 체결 이후 바로 지급받기 때문에 인보이스 발행 기간을 감안하더라도 2022년 5월에는 수령할 것으로 예상됐었다.

그러나 제넥신은 2022년 5월 선급금 수령일자를 2022년 12월 이내로 바꿨다. 지난해 1월에는 선급금 수령일자를 2023년 6월 이내로, 6월에는 2023년 12월 이내로, 12월에는 2024년 1월 이내로 변경했다. 무려 4회나 선급금 수령일자를 미룬 것이다.

이처럼 KG바이오가 선급금 지불을 연기한 이유는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고 있다. 의아한 점은 KG바이오의 현금 여력이 부족하지도 않다는 점이다. KG바이오는 2022년 3분기 말 기준으로 약 1000억원 정도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었다. 2022년 3월 GX-E4 기술이전 계약 체결 직후 선급금을 지급할 능력이 충분히 있었다는 얘기다.

또한 KG바이오는 2021년 1분기까지만 해도 제넥신의 또 다른 신약후보물질 ‘GX-I7’ 기술이전에 따른 선급금 270만달러(약 300억원)를 지급했다. 이에 따라 제넥신은 2021년 1분기 흑자 전환한 것은 물론, 2021년 설립 이래 최대 연매출(368억원)을 기록했다.

“이달 내 선급금 수취 가능” 자신하는 이유는?

그럼에도 제넥신은 이달 내에는 선급금을 수취할 수 있을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GX-E4의 투석환자 대상 글로벌 임상 3상을 본격 개시하면 KG바이오가 선급금을 지급할 것이라는 예상에서다.

제넥신 관계자는 “KG바이오와 GX-E4 유럽 임상을 하기로 계약했는데 전체적으로 바이오기업 경기가 안 좋다 보니 제넥신도 자금이 부족해 해당 임상이 진행이 안 되고 있었다”면서 “그래서 KG바이오가 약속한 대로 유럽 투석 임상을 진행하면 계약금 보내주겠다는 식으로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제넥신은 지난해 11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GX-E4의 투석환자 대상 임상 3상 계획을 승인받았다. 해당 임상은 유럽 및 아시아 총 11개국에서 투석 치료를 받는 만성신장질환으로 인한 빈혈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제넥신 관계자는 “해당 임상의 첫 환자 투약은 다음주나 다다음주 정도에 이뤄질 것 같다”며 “1월 말 정도면 (선급금) 금액이 들어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KG바이오에서도 해당 임상의 환자 투약이 진행되면 다시 알려달라고 얘기했기 때문에 (선급금 수령 관련해) 걱정하고 있진 않다”고 덧붙였다.

GX-E4 기술이전 계약의 나머지 마일스톤 500만달러(약 62억원)도 무사히 수령할 수 있을지도 관건이다. 제넥신은 유럽국가의 투석을 위한 GX-E4 허가신청서(BLA) 제출 시 해당 마일스톤을 수취할 수 있다. 제넥신은 아직 투석 환자 대상 글로벌 임상 3상 개시를 앞두고 있는 단계이기 때문에 마일스톤 수령 시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측된다. 제넥신은 해당 임상의 임상결과보고서(CSR)을 2027년 수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계약금 지급 계속 미루는 파트너사, 신뢰할 수 있나?

일각에선 이처럼 선급금조차 제대로 지급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KG바이오와 협업 관계에 문제가 없는 것인지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앞으로 KG바이오와 에페사의 현지 생산 및 시판에 이르는 과정을 진행해야 하는데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사일지에 대한 의구심이 일고 있다는 것이다.

(왼쪽부터) 시 조한(Sie Djohan) KG바이오 대표, 페니 쿠수마투이 루키토(Penny Kusumastuti Lukito) 인도네시아 식약처장, 이라와티 세티아디(Irawati Setiady) 칼베파마(PT Kalbe Farma Tbk) 대표는 지난해 10월 23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에페사 품목허가 이후 향후 계획을 알렸다. (사진=제넥신)
제넥신은 KG바이오의 자회사가 보유한 우수의약품제조·품질관리기준(cGMP)급 시설에서 에페사를 현지 생산할 계획이다. 제넥신 측은 이러한 생산 계획에 변동은 없으며, 협업 관계를 긴밀하게 유지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KG바이오는 올 초 에페사의 인도네시아 시장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시 조한(Sie Djohan) KG바이오 대표는 “(에페사를)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늦어도 2024년 초 인도네시아 시장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인도네시아를 시작으로 아시아, 중동, 유럽 등으로 제품을 수출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현재 인도네시아에서는 에페사의 보험수가 등을 협의하고 있는 단계다.

아울러 KG바이오도 에페사에 거는 기대가 크다는 게 제넥신 측의 설명이다. 에페사 매출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KG바이오의 기업공개(IPO)가 추진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제넥신 관계자는 “KG바이오가 언제 IPO에 도전할지에 대해 아직 명확한 건 없지만 아시아 지역의 에페사 상업화에 나서고 있고, 생산 능력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상장에는 큰 무리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KG바이오는 2016년 3월 인도네시아 제약사 칼베파마(Kalbe Farma)와 제넥신이 공동으로 합작 설립한 기업이다. 칼베파마는 지난해 매출액 28조9300억루피아(한화 약 2조4504억원), 순이익 3조3800억 루피아(한화 약 2863억원)를 벌어들인 제약사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