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하이브 분쟁’ 겪은 엔터株, 바닥 찍었나…증권가도 “비중 확대”

박순엽 기자I 2024.05.13 05:10:00

SM·JYP, 올 1분기 실적 부진에도 이달 6%대 상승
중장기 성장 변화 없다는 판단에 저가 매수세 유입
음반 판매량 회복·아티스트 활동으로 실적 개선 전망
증권가 ‘투자 비중 확대’ 조언…“하이브도 매수 기회”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국내 최대 가요 기획사 하이브와 자회사 어도어의 경영권 분쟁이 불거지며 하락세를 보여온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의 주가가 반등의 기회를 엿보고 있다. 주가 하락에 따른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 매력이 돋보인다는 이유에서다. 증권가에서도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실적이 ‘상저하고’ 흐름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하며 투자 비중을 확대하라고 조언하고 있다.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12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지난 10일 SM엔터테인먼트(에스엠(041510))는 전 거래일 대비 1000원(1.22%) 오른 8만3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달 들어 코스닥 지수가 0.55% 하락하는 상황에서도 SM엔터테인먼트의 주가는 6.53% 올랐다. 같은 기간 JYP엔터테인먼트(JYP Ent.(035900)) 주가 역시 6.45% 상승하면서 가파른 오름세를 보였다.

이는 올해 초부터 이어진 엔터테인먼트 종목의 전반적인 약세와 하이브-어도어 분쟁에 따른 일부 종목의 추가적인 주가 하락에 따른 저가 매수세가 유입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이번 분쟁으로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인적 리스크’라는 불확실성이 두드러졌으나 기업 자체의 중장기 성장성엔 변화가 없다는 판단도 주가 상승에 힘을 보탠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올해 1분기 실적 부진에도 엔터테인먼트 종목에 대한 투자 비중을 확대해야 한다는 증권가 의견은 꾸준히 나오고 있다. 국내 아티스트들의 글로벌 인기와 더불어 12~1월 사이 시상식과 해외 행사가 코로나19 사태 이전보다 늘면서 1분기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비수기로서 실적이 부진할 수밖에 없었다는 평가다.

증권가에선 올 초 감소했던 음반 판매량이 회복되고, 각 기업 소속 아티스트의 활동도 2분기를 시작으로 늘어나리라고 예상하면서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실적 개선에 무게를 실었다. 현재까지 부진한 주가 흐름을 나타내고 있는 하이브(352820)와 YG엔터테인먼트(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역시 2분기 이후 실적 개선 흐름을 나타내리라고 전망했다.

류은애 KB증권 연구원은 YG엔터테인먼트에 대해 “베이비 몬스터 등 신규 IP에 대한 투자성 경비가 증가하고, 연결기준 YG인베스트먼트의 투자상품 평가손실로 이익 감소가 발생했다”며 “트레저의 콘서트와 로열티 매출액이 증가하고, 베이비 몬스터의 음반·음원 매출이 실적에 보탬이 되면서 하반기로 갈수록 실적이 개선되는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공연 역시 2분기 중순부터 이어지는 점도 더해지는 점도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실적을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임수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올해 공연 모객 수는 전년 대비 27.4%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YG엔터테인먼트를 제외한 3사의 합산 공연 매출액은 전년 대비 19% 늘어난 5900억원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번 갈등 사태를 겪은 하이브 역시 내년 방탄소년단(BTS) 완전체가 컴백하는 만큼 이번 조정이 매수 기회라는 의견이 제기된다. 이화정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멀티 레이블 체제에 대한 의구심이 있으나 멀티 레이블 체제는 실적 안정성을 개선하고 있다”며 “BTS의 순차적인 전역이 가져올 분위기 환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