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자오픈 코스에 무슨 일이..작년보다 언더파 23명 줄어

주영로 기자I 2024.06.13 20:26:19

배소현, 노승희 4언더파 68타 공동 1위
60대 타수 단 3명..작년 18명보다 23명 줄어
상금, 다승 1위 이예원, 버디 없이 끝내

한국여자오픈 1라운드 공동 1위에 오른 배소현. (사진=이데일리 골프in 조원범 기자)
[음성(충북)=이데일리 스타in 주영로 기자] 언더파 18명.

4년 연속 두자릿수 언더파 우승자의 탄생으로 내셔널 타이틀의 자존심을 구겼던 한국여자오픈(총상금 14억원)이 올해는 달랐다. 코스의 전장을 늘리고 페어웨이 폭을 좁히자 언더파가 확 줄었다.

13일 충북 음성군 레인보우힐스 컨트리클럽(파72)에서 열린 DB그룹 제38회 한국여자오픈 골프선수권 첫날 1라운드에서 노승희와 배소현이 나란히 4언더파 68타를 때려 공동 1위에 올랐고, 16명이 언더파 성적표를 제출했다. 참가 선수 중 98명은 오버파를 적어냈다.

한국여자오픈은 2021년부터 새로운 타이틀 스폰서인 DB그룹이 참여한 이후로 현재의 코스인 레인보우힐스 컨트리클럽으로 장소를 옮겼다. 애초엔 코스 난도가 높아 언더파를 기록하는 선수가 많지 않을 거라고 예상했으나 결과는 전혀 달랐다. 2021년 대회 땐 박민지가 17언더파 271타로 우승해 대회 최소타와 최다 언더파 타이기록으로 우승했고, 2022년 대회에선 임희정이 19언더파 269타를 쳐 최소타와 최다 언더파 신기록을 작성했다. 지난해 대회에서도 홍지원이 12언더파 276타를 쳐 이 골프장으로 장소를 옮긴 이후 3회 연속 두자릿수 언더파 우승자가 나왔다. 앞서 2020년 베어즈베스트 청라에서 유소연이 12언더파로 우승한 기록을 포함하면 4년 연속 두자릿수 언더파 우승자가 나왔다.

3년 동안 프로들의 정교한 샷 앞에서 맥을 추지 못했던 레인보우힐스 골프클럽이 올해는 마음먹고 난도를 높였다. 그러나 언더파가 줄고 오버파가 크게 늘었다.

주최 측이 공개한 코스 정보에 따르면, 그린 스피드는 평균 3.2m를 유지했고, 코스 전장은 지난해보다 30m 길게 했다. 게다가 페어웨이 폭은 20~25m로 줄였고 러프는 최소 30mm 이상으로 길러 놔 정교한 공략을 하지 못하면 타수를 줄이기 어렵게 만들었다.

첫날 언더파를 기록한 선수는 18명으로 작년보다 23명 줄었다. 지난해 대회에선 1라운드에서 언더파를 기록한 선수가 41명이었다. 2022년엔 첫날 언더파를 적어낸 선수가 59명이었다. 60대 타수를 적어낸 선수도 2023년엔 18명, 2022년엔 32명이나 나왔으나 올해는 공동 1위 노승희와 배소현(이상 4언더파 68타), 3위 정윤지(3언더파 69타)까지 겨우 3명에 그쳤다.

배소현은 “페어웨이가 좁고 그린 주변 러프가 길어서 티샷은 정확하지 않아도 쇼트게임에 집중하면서 파세이브에 신경을 썼는데 오늘 잘 풀려서 좋은 성적을 낼 수 있었다”라며 “남은 사흘 동안 다른 선수가 올라올 수 있고 저 또한 무너질 수도 있으니 차분하게 한 타 한 타에 집중하면서 경기하겠다”라고 방심하지 않았다.

노승희는 “어려운 코스이긴 하지만 지키는 홀은 지키고 공격적으로 치고 나갈 수 있는 홀은 적극적으로 공략한 게 좋은 성적을 낸 원동력인 것 같아 만족한다”라며 “내일도 지키는 홀은 지키고 공격적인 전략이 가능한 홀은 적극적으로 경기하면서 버디를 잡아 낼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윤이나가 첫날 2언더파 70타를 쳐 리슈잉(중국), 홍진영, 한지원, 장수연, 김민주, 이세희와 함께 공동 4위에 자리했고, 아마추어 정지효와 김재희, 방신실, 유현조 등은 1언더파 71타로 1라운드를 마쳤다.

KLPGA 투어의 1인자 이예원은 난코스에 고전했다. 18홀을 경기하면서 버디를 1개로 잡아내지 못했다. 1번홀에서 출발한 이예원은 3번홀(파3)에서 트리플보기를 적어냈고, 1번과 13번홀에서 보기를 기록해 버디 없이 5오버파 77타를 쳤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