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적' 이현욱 "친일파 연기, 한국 대중 반응이 더 걱정" [인터뷰]②

최희재 기자I 2023.09.26 17:48:19
이현욱(사진=넷플릭스)
[이데일리 스타in 최희재 기자] ‘도적’ 이현욱이 친일파 역할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이현욱은 26일 오후 서울 종로구 안국동에 위치한 한 카페에서 넷플릭스 ‘도적: 칼의 소리’(이하 ‘도적’) 종영 기념 인터뷰를 진행했다.

‘도적’은 1920년 중국의 땅, 일본의 돈, 조선의 사람이 모여든 무법천지의 땅 간도에서 소중한 사람들과 삶의 터전을 지키기 위해 하나 된 이들이 벌이는 액션 활극.

이현욱은 극중 조선인 출신의 최연소 일본군 소좌 이광일 역을 맡아 열연을 펼쳤다. 이현욱은 가혹한 친일파지만 노비이자 친구였던 이윤(김남길 분)과의 애증, 독립운동가라는 신분을 숨긴 남희신(서현 분)을 향한 연정을 품은 이광일을 입체적으로 그려냈다.

이현욱(사진=넷플릭스)
이날 이현욱은 이광일이라는 캐릭터성에 대해 “많이 열려 있었다”며 “감독님이랑 얘기를 많이 했었던 게 ‘인간성의 결여’인지 아니면 ‘일말의 인간성이 있는 건지’였다. 저는 무의식에 인간성이 존재한다고 생각하고 캐릭터라이징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제가 중간 중간 찰나에 그런 연기를 했다. 진짜 100% 냉혈인간이었다면 태주(고규필 분)도 죽였어야 하고 이윤, 희신이도 바로 죽였어야 했다”며 “딜레마에 빠져있는 인물이다. (그렇다고) 인간성 부각을 시키면 행위에 대한 정당성, 존재 이유가 흐려진다”고 전했다.

또 이현욱은 “고춧가루를 붓고 태주가 편지를 다 고쳤다고 얘기할 떄 제가 순간적으로 자조적인 회상을 한다. 그게 너무 부각되면 안 되니까 나를 멈춘 것에 대한 분노 느낌으로 태주한테 갔다. 또 제 손가락이 잘려나가고 독립군에게 총을 쏘는 장면에서도 옛날에 착했던 광일이의 느낌으로 마주 보면서 돌아가는 느낌도 있다”고 말했다.

이현욱(사진=넷플릭스)
이광일은 남희신이 독립군이라는 걸 알면서도 결혼식을 올린다. 이에 대해 이현욱은 “희신과 결혼할 때도 눈에는 물음표가 떠있는 상태다. 서사가 조금 부족하다 보니까 ‘결혼해서 죽이려고 하나?’ 이런 생각도 드실 것 같다”며 “신부를 제대로 못 보고 눈동자가 돌아다닌다. ‘평생을 사랑하겠습니다’ 하는데도 이게 맞는 건지, 계속 딜레마에 빠져있는 느낌으로 연기를 했다. 디테일하게 보면 보이지만 크게 보면 간과하고 지나칠 수 있는 부분이 있었다”며 연기에 중점을 둔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했다.

‘도적’의 가장 큰 특징은 캐릭터들이 선과 악이라는 이분법으로 나눠져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현욱은 “피해의식에 대해서 생각을 많이 하고 접근했던 것 같다. ‘서민귀족’이라는 희곡이 있다. 돈은 많은데 신분이 서민이었다. 귀족들 사이에서 돈은 부족하지 않지만 귀족이 될 수 없는 거였다. 그런 질감이 맞는 것 같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내가 소좌가 되고 수많은 일본군이 밑에 있지만 내가 조선인인 걸 알지 않나. 일본군 중장이 ‘너 이름이 뭐냐’고 했을 때 미우라 쇼헤이라고 답하지만 나중엔 조선인 이광일이라고 굴복을 당한다. 제가 악하게 된 포인트가 그 지점이었다. 그 장면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게 우리나라 친일을 한 사람에 대한 딜레마에 중요한 장면이라고 생각해서 그걸 많이 생각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이현욱(사진=넷플릭스)
친일파 역할이 부담스럽진 않았을까. 이현욱은 “오히려 반대였다. ‘한국에서 미운털 박히면 어떡하지?’ 했다. 감독님이 ‘일본 귀화해야 되는 거 아니냐’ 농담도 하셨다. 저는 오히려 우리나라 대중 반응이 좀 더 걱정됐던 것 같다”고 답했다.

그는 악역 연기에 대해서도 “저는 이런 사람을 보질 못했지 않나. 그러니까 더 표현할 수 있는 변수들이 많았다. 아는 캐릭터거나 경험해봤던 캐릭터였으면 선택의 폭이 좁았을 것 같다”며 “저는 제가 싫어하는 인간상에 대해 알고 있기 때문에 (연기할 때) 제가 받았을 때 싫어하는 말투, 표정을 다 생각해서 쓴다”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