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19년 역사 '해투', 2.8%로 초라한 마무리

김가영 기자I 2020.04.03 11:01:46

'해피투게더' 마지막 방송, 시청률 2.8%
시즌4 개편했지만, 색깔 찾지 못해
"폐지 아닌 시즌 종영"

[이데일리 스타in 김가영 기자] “꼭 새로운 모습으로 돌아와 많은 웃음을 드리겠다.”

‘해피투게더4’ 포스터(사진=KBS)
KBS2 최장수 예능프로그램 ‘해피투게더’가 지난 2일 새로운 시즌을 약속하며 19년 역사를 마무리했다.

‘해피투게더3’ MC였던 엄현경과 MC들의 절친인 허경환, 남창희, 조우종이 출연한 이날 방송은 시청률 2.8%에 그쳤다.(닐슨코리아) 19년 역사, KBS 최장수라는 타이틀에 비해 초라하고 씁쓸한 마지막이다.

2001년 시즌1으로 시작해 2020년 시즌4까지 이어지며 KBS 최장수 예능프로그램의 자리를 지킨 ‘해피투게더’는 최근 시청률, 화제성 저조를 겪었다. 새로운 도약을 위해 3~4% 시청률 대의 시즌3를 마무리하고 시즌4로 개편했지만 상황은 악화됐다. 시청률은 최저 1.8%까지 떨어졌고 화제성도 저조해 존재감이 미미했다.

채널, 콘텐츠가 다양해지며 방송 프로그램의 침체기가 왔다지만 ‘해피투게더4’의 문제점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해피투게더’ 만의 차별성을 갖추지 못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힌다.

‘해피투게더4’(사진=KBS)
‘쟁반노래방’, ‘프렌즈’, ‘사우나 토크’, ‘야간매점’ 등 다양하고 신선한 포맷으로 예능계를 주도하던 과거와 달리 색깔 없는 토크쇼로 90분을 채워왔다. 토크쇼라는 포맷 뿐만 아니다. 게스트들도 ‘해피투게더’ 만의 개성을 갖추지 못했다. 타 드라마에서 이슈가 된 조연배우들이나, 타 예능에서 활약한 스타들을 초대해 꾸미는 식이었다.

시즌4는 ‘스타를 직접 찾아가는 토크쇼’라는 포맷을 내세웠지만, 몇 주 만에 다시 스튜디오로 돌아왔고 ‘개편’의 의미를 살리지 못했다.

주철환 아주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시청률이 하락한다는 것은 시청자의 눈길을 끌지 못했고 마음을 끌지 못했다는 것이다”며 “방송이라는 것은 새로움, 즐거움, 유익함 3가지 요소로 볼 수 있는데 ‘해피투게더’는 새로운 게 부족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예전에는 ‘쟁반노래방’, ‘프렌즈’ 등 핫한 포맷들이 있었다. 시청자들이 지루할 때쯤 빠르게 포맷을 바꿔줬다”며 “최근 ‘해피투게더’에서는 MC들이 옷을 바꿔입는 정도의 변화를 보였는데 그 정도의 변화로는 새로운 것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미흡했던 것 같다”고 분석했다.

또한 “제작진이 많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시청자들은 이미 재밌고 자극적인 것을 많이 봤다”며 “스튜디오 예능의 한계가 있었던 것 같다”고 덧붙였다.

결국 새 시즌 1년 4개월 만에 막을 내린 ‘해피투게더’. KBS 측은 “잠시 시즌을 멈추고 재정비에 들어가기 위해 휴지기를 갖는다”며 폐지가 아닌 시즌 종영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