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안준철의 스포츠시선] ‘이도류’로 ‘일류’가 된 사나이가 주는 울림

스포츠팀 기자I 2023.12.16 12:52:39
LA다저스와 10년 7억 달러라는 천문학적인 계약을 맺은 오타니 쇼헤이. 사진=AP PHOTO
LA다저스 유니폼을 입은 오타니 쇼헤이. 사진=AP PHOTO
[안준철 스포츠 칼럼니스트] 오타니 쇼헤이(29)는 야구의 패러다임을 바꿨다. 익숙하지 않던 ‘이도류(二刀流: 투타겸업)’의 길로 세계 최고 무대의 정상에 올랐기 때문이다.

야구라는 종목이 200년 가까운 시간 동안 발전해오면서 뚜렷하게 나타난 경향은 ‘전문화’다. 특히, 공을 던지는 ‘투수’와 이를 쳐야 하는 ‘타자(타격)’는 독자의 영역을 구축해 갔다. 지명타자(DH) 도입도 이런 맥락 중 하나였다. 20세기 초 야구를 바꿨던 인물인 베이브 루스도 2시즌 투수와 타자를 겸업했지만, 타자에 집중하는 결정을 내렸다. 그만큼 힘들었기 때문이다.

100년 전에도 힘들었는데, 투타가 독자적 전문 영역으로 굳어지는 상황에서 투수로서 160km가 넘는 강속구를 던지며, 중심타자로 40개 홈런 이상을 펑펑 때리는 장면은 만화에서나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이를 현실로 만든 이가 바로 오타니였다.

2023년은 오타니의 해라고 불러도 좋다. 3월에 열린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서 일본 대표팀을 우승으로 이끌며 대회 MVP에 올랐다. LA에인절스와 계약이 만료돼, FA(프리에이전트) 시장의 최대어가 됐고, LA다저스와 10년 7억 달러(약 9200억원)에 계약해 세계 프로스포츠 역사상 최고액 기록을 세웠다. 스포츠 선수로 ‘일류(一流)’에 도달했다고 할 수 있겠다.

오타니의 성공은 여러모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단순히 ‘오타니의 재능이 뛰어나서’라고 설명할 수 없다. 성공을 향한 오타니의 자기계발은 이미 책이나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로 다뤄져 왔고, 소개되어왔다. 이미 오타니가 고교 시절 작성했다는 ‘만다라트 계획표’는 유명하다. 정중앙에 최종목표를 적은 뒤 8개 방향으로 조금씩 확장하면서 세부 지침을 상세하게 적어가는 방식이다. 더 놀라운 사실은 고교 시절 세운 목표를 대부분 이뤘거나, 이뤄가고 있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일류’가 되는 자기계발의 종합 교본이다.

오타니식 자기계발과 성공의 핵심은 바로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바로 ‘야구’이다. 먼저, 오타니는 자기가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잘 알고, 그 길에 몰두했다. 이는 교육심리학에서 나온 개념인 ‘메타인지’와 통한다고 볼 수 있다. 메타인지는 자기계발의 시작이라 불린다. 오타니는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을 기준 삼아 스스로 결정하고, 결정을 실제 행동으로 옮겼다.

다음으로는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을 기준 삼아 꿈을 설정하고 꿈을 이뤘다. 꿈을 이루는 과정은 ‘만다라트 계획표’와 같이 계획적이고, 치밀했다. 오타니라고 선수 생활이 순탄하지만은 않았다. 전매특허인 ‘이도류’를 뽐내며 일본 프로야구 닛폰햄 파이터스를 우승으로 이끌고, 메이저리그에 진출했지만, 팔꿈치 수술을 받고, 타자로만 역할이 제한됐다. 하지만 좌절하지 않았다. 긍정적인 사고를 유지했다. 이는 2021시즌 성과로 나타났다. 타자로 155경기에 출전해 138안타 46홈런 100타점 103득점 타율 .257 OPS .965, 투수로 23경기에 나서 9승 2패 평균자책점 3.18로 활약하며 ‘만장일치’ 아메리칸리그 MVP로 선정됐다.

오타니는 꿈을 이뤘다고 만족하거나 안주하지 않았다. 바로 오타니식 자기계발의 세 번째 특징이 ‘한계를 설정하지 않는 것’이다. 오타니는 지난 시즌에도 타석에서는 157경기 34홈런 95타점 타율 .273, OPS .875, 마운드에서는 28경기에서 15승 9패 평균자책점 2.33의 성적을 남기며, ‘이도류’ 활약이 결코 반짝이 아니었음을 증명했다. 올 시즌은 타자로 135경기 497타수 151안타 타율 .304 44홈런 95타점 OPS 1.066, 투수로 23경기 132이닝 10승 5패 평균자책점 3.14을 기록했다. 투수로는 두 번째 팔꿈치 수술을 받느라 8월까지 기록이 전부이다. 하지만 두 시즌 연속 두 자릿수 승리와 두 자릿수 홈런을 기록한 선수는 메이저리그 역사에서 오타니가 유일하다.

오타니의 성공, 오타니식 자기계발은 야구뿐만 아니라 스포츠 전체를 놓고 봐도 큰 울림을 준다. 단순히 스포츠에만 국한해서 의미를 주는 것도 아니다. 오타니식 성공 방식은 스포츠를 넘어 다양한 분야에서 그 함의(implication)를 찾을 수 있다. 펜실베니아대학교 심리학과 안젤라 더크워스 교수가 제안한 ‘그릿(Grit)’의 개념도 오타니의 성공 과정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재능보다는 노력이 만든 성과이다. 또 어떻게 보면, 오타니의 가장 큰 재능은 자신이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을 알고, 꿈(목표)을 설정해 몰두하며 꾸준히 실행한 것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한편으론 부럽기도 하다. 2024 파리올림픽을 앞두고 국가대표 선수들의 해병대 캠프 참여를 독촉하는 대한체육회가 떠오르기 때문이다. 관련 기사에 따르면 체육회 관계자는 “올림픽은 전쟁”이라는 해괴망측한 이유를 댔다고도 한다. 올림픽을 전쟁으로 바라보는 인식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 헌장 위반이 될 소지가 다분하다.

필자가 지난 10월 14일자 칼럼(‘해병대 극기훈련’보다 ‘그릿’으로 접근하면 안될까)에서도 했던 얘기이지만, ‘정신력 타령’으로는 MZ세대 선수들을 설득할 수 없다. 치밀하고, 체계적이면서 흐뭇해지는 오타니식 성공 방식이라면 모를까.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연구자/ 전 스포츠 기자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