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아마존의 눈물' 제작진, "아이디어 도용한 적 없다" 공식 입장

박미애 기자I 2010.02.20 12:34:58
▲ MBC 다큐멘터리 `아마존의 눈물`

[이데일리 SPN 박미애 기자] 다큐멘터리 `아마존의 눈물`을 상대로 지적 재산권을 침해했다고 주장하는 정승희 미디어아마존 대표에 대해 제작진이 그런 사실이 없음을 정중히 밝혔다.

제작진은 20일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정 대표의 아이디어를 도용하거나 정 대표를 감언이설로 속여 이용한 일이 없다"고 공식 입장을 전했다.

제작진은 몇몇 사례를 들어 정 대표의 주장에 대해 반박하면서 지적 재산권을 침해하긴커녕 그 밖의 부당한 행위를 한 일이 없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제작진은 큰 사랑을 보내준 시청자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하면서 "`아마존의 눈물`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다큐멘터리에 대해서도 사랑과 격려를 보내달라"고 당부했다.

다음은 제작진이 인터넷 홈페이지에 남긴 공식 입장 전문

아마존을 전문적으로 다룬 독립 다큐멘터리 제작자 정승희씨가 `아마존의 눈물`이 자신의 지적 재산권 침해라고 주장했다는 언론의 보도가 있었습니다. `아마존의 눈물` 제작진은 이를 계기로 그 동안의 저희를 되돌아보았습니다.

그 동안 `아마존의 눈물`은 시청자와 언론의 참으로 많은 관심과 찬사를 받았습니다. 이로 인해 다큐멘터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크게 높아졌고 `아마존의 눈물`은 방송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역사를 열었습니다. 제작진에 대한 칭찬과 격려도 쏟아졌습니다.

이러한 성과가 저희에게 영광이자 기쁨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저희에게 쏟아진 칭찬이 부담스럽기도 하였습니다. `아마존의 눈물`을 계기로 다큐멘터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달라졌지만 이는 그 동안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많은 다큐멘터리 제작자들이 열심히 씨를 뿌리고 거름을 준 밭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습니다. 저희는 다만 그 밭에서 수확을 했을 뿐입니다. 저희에게 쏟아진 칭찬은 그 동안 다큐멘터리에 헌신한 모든 분들의 몫이기에 그 분들에게 미안하기도 하고 고맙기도 합니다. 이 점에서 저희는 오랜 동안 아마존 관련 다큐멘터리를 제작한 정승희씨에게도 미안하고 또 고맙습니다.

하지만 저희 제작진이 정승희씨의 아이디어를 도용하거나, 또는 정승희씨를 감언이설로 속여 이용한 일은 전혀 없습니다. 이런 대형 프로그램의 제작을 위해서는 다수의 인력이 투입되어 국내에서 그리고 현지에서 많은 사람을 만나고 또 인터넷, 서적, 비디오, 해외 방송 프로그램 등 많은 자료를 조사합니다. 정승희씨도 그 과정에서 만난 분이며, 저희에게 협조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그러나 그 분과의 만남에서 프로그램의 기획 방향이 결정되거나 아니면 프로그램 상의 아이디어를 얻거나 하지는 않았습니다.

예를 들어, `아마존의 눈물`이 다룬 분홍돌고래나 원시 부족 등을 정승희씨가 저희에게 언급했을 수 있지만 이러한 내용은 정승희씨만의 노하우가 아니라 이미 많은 자료에 나와 있는 내용입니다. 그것을 `아마존의 눈물` 제작진은 저희의 시각과 방식으로 접근해 제작한 것입니다.

부족의 경우 오히려 정승희씨가 주로 촬영해오던 지역을 피해서 다른 지역을 중심으로 취재했습니다. 예를 들어 와우라 부족은 2008년 기획초기 단계에서 정승희씨로부터 추천을 받은 것이 아니라 2009년 9월 브라질 현지 프러덕션이 메일을 통해 저희에게 소개한 부족입니다. 이후 와우라부족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정승희씨가 후나이(브라질 원주민 보호국)의 허가 없이, 그리고 건강검진도 없이 와우라부족에 들어간 사실이 알려져 후나이 측으로부터 강한 경고를 받기도 했습니다.

제작 과정에 정승희씨의 참여를 논의한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정승희씨의 접근 방식이 저희와 달라 포기하였습니다. 정승희씨가 제안한 비공식적이고 신속한 접근방식이 공식적이고 대규모적인 접근방식을 채택한 저희에 맞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접근 방식은 여건과 기획 의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어느 방식이 좋다 나쁘다의 문제는 아닙니다. 비공식적이고 신속한 접근 방식은 지원이 넉넉하지 못한 다큐멘터리 제작 환경에서 널리 통용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이번 `아마존의 눈물`은 창사 특집으로 다른 다큐멘터리에 비해 넉넉한 지원을 받아 장기적이고 대규모적인 접근이 가능했습니다. 또한 공영방송 엠비씨를 대표하는 프로그램으로 기획되었기 때문에 공식적인 접근 방식을 택해야 했습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저희가 `아마존의 눈물`을 제작하면서 정승희씨의 지적재산권을 침해하거나 그 밖의 부당한 행위를 한 바는 전혀 없습니다. 그럼에도 저희는 정승희씨와 또한 열악한 환경 속에서 다큐멘터리 제작에 헌신한 많은 분들에게 빚을 지고 있습니다.

이번에 저희 제작진의 고생이 알려지면서 시청자의 많은 위로를 받았습니다. 정말 고생했습니다. 하지만 저희만 고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다 보면 별별 고생을 다 겪으며 목숨을 거는 경우도 종종 발생합니다. 이 또한 모든 다큐멘터리 제작자들이 받아야 할 위로를 저희가 독차지하여 받은 것 같아 미안합니다.

시청자 여러분, `아마존의 눈물`에 보내주신 사랑에 다시 한 번 감사드리며, 더불어 `아마존의 눈물`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다큐멘터리에 대해서도 사랑과 격려를 보내주시길 바랍니다.

저희는 앞으로도 우쭐대지 않고 더욱 겸손한 마음으로 일하겠습니다. 더 나은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다큐멘터리에 대한 시청자들의 애정과 격려에 보답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