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90년생 감독의 패기 이충현 "여성 캐릭터 편견 깨고 싶어"[인터뷰]

박미애 기자I 2020.12.02 06:00:00
이충현 감독(사진=넷플릭스)
[이데일리 스타in 박미애 기자] “나한테는 여성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가는 것이 자연스럽다. 여성이 캐릭터 변화에 유연하고 때론 더 힘이 있다.”

최근 넷플릭스를 통해 전 세계 190개국에 공개된 영화 ‘콜’이 상업영화에서 보기 힘든 여성 캐릭터를 주연으로 내세운 스릴러 영화라는 사실을 짚자, 이충현 감독이 한 말이다. 그러고 보니 첫 번째 단편 ‘몸값’(2015)부터 두 번째 단편 ‘하트어택’(2020) 그리고 첫 장편인 ‘콜’(2020)까지 모두 여성이 주인공인 작품들을 작업했다.

이충현 감독은 최근 진행한 화상 인터뷰에서 “원래 성향이 기존의 시스템이나 편견들을 비틀어버리는 이야기에 끌리는 편”이라며 “여성 캐릭터가 나오면 ‘수위가 그 이상은 안 되겠지’ 같은 생각들이 있는데 ‘콜’로 그걸 깨보고 싶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의 연출대로 ‘콜’에 등장하는 여성들은 강렬하다. 서로 다른 시간대의 두 여자가 연결되며 벌어지는 사건을 그린 ‘콜’에서 박신혜는 지금까지 출연한 작품에서 보지 못한 독한 모습으로, 전종서는 ‘추격자’의 하정우에 비교될 정도의 살인마 연기로 호평받고 있다. 두 배우에 대해 그는 “박신혜는 현장의 리더로서 단단한 돌처럼 작품에 무게를 잡아줬고, 전종서는 다듬어지지 않은 날 것의 느낌을 지녔는데 그 두 가지가 이 작품에 잘 묻어난 것 같다”고 만족해했다.

‘콜’ 박신혜
‘콜’ 전종서
올해 나이 서른 살의 젊은 감독인 이충현 감독은 예술고에 진학하며 자연스럽게 영화감독의 길을 걷게 됐다. 그는 2015년 기발한 이야기와 날카로운 메시지가 돋보인 ‘몸값’으로 업계에 신선한 충격을 안기며 데뷔 당시 ‘괴물 신인이 나타났다’는 찬사를 받았다. 첫 장편으로 100억원에 가까운 큰 규모의영화를 한다고 했을 때 ‘몸값’을 만든 이가 어떤 작품으로 또 한 번 놀라움을 선사할지 궁금해하는 이들이 많았다. 올 초부터 개봉을 기다렸던 ‘콜’은 코로나19 확산이 좀처럼 걷히지 않자 끝내 넷플릭스에서 공개됐다. 그는 ‘콜’이 극장 상영을 못하게 된 것에 대해 “아쉽다”고 하면서도 “(넷플릭스 공개가) 전 세계 관객과 만나는 것은 나한테나 영화한테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충현 감독은 연출력뿐 아니라 잘생긴 외모로도 주목을 받았다. 지난 2월 제작보고회 행사가 공개된 뒤 “감독이 배우 같다”며 이례적으로 신인 감독의 이름이 실시간 검색에 올랐다. 이에 대해 그는 “영화를 더 열심히, 더 잘해야겠다는 생각이 크게 든다”며 “오랫동안 영화를 만들고 싶다”고 수줍게 웃었다.

이충현 감독(사진=넷플릭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