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韓 넘어 日까지…'한일톱텐쇼' 서혜진 대표 "트롯만? NO! K팝에 도전"[인터뷰]①

김가영 기자I 2024.06.05 06:00:13
서혜진 대표
[이데일리 스타in 김가영 기자] ‘한일가왕전’, ‘한일톱텐쇼’ 서혜진 대표가 트롯을 넘어 K팝까지 오디션 프로그램을 확장한다.

지난 3일 이데일리와 만난 서혜진 대표는 “성인가요시장에 특화됐다는 회사 이미지가 있는데 그런 것들에서 변화를 주겠다는 생각을 했다. 연령대가 많이 낮아졌다”며 “신동들의 재미를 보는 것은 회사가 가장 잘하는 것. 15살 이하의 신동들, 보컬에 강점이 있는 재능있는 사람들을 모아보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하반기 선보일 최연소 걸그룹 오디션 ‘언더피프틴’에 대해 설명했다.

서혜진 대표의 크레아스튜디오가 준비 중인 ‘언더피프틴’은 만 15세 이하 5세대 글로벌 스타를 뽑는 초대형 예비스타 발굴 프로젝트. 보컬신동 걸그룹 육성 오디션이다. 서 대표는 “일본 OTT를 같이 하려고 노력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언더피프틴’의 참가자에 대해서도 “연습생으로 시작하는 나이다. YG엔터테인먼트, SM엔터테인먼트 등 각 기획사에서 보는 연습생들의 기준이 다를 것 아닌가. 우리는 우리만 볼 수 있는 게 있다고 생각을 한다. 차별성이 중요하다”며 “하이브의 100분의 1도 안되는 회산데 어떻게 똑같이 해서 그들을 따라가겠나. 저희의 강점은 저희가 보는 눈에 시스템 구축, 캐릭터 라이징까지다. 재능있는 배우를 발굴하고 좋은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미스트롯’, ‘미스터트롯’에 출연한 미성년자 출연자들은 제약이 많았던 바. ‘언더피프틴’의 출연자들도 연령대가 낮기 때문에 활동에 제약이 있을 터. 이에 대해서 서 대표는 “더 어렵다”며 “2년 정도 같이 활동하고 계약을 할지 어떨지는 아직 모르겠다”고 솔직히 털어놨다. 이어 “우리가 재능있는 친구들을 발굴했다, 크레아가 그런 능력은 있다는 걸 보여주기 위한 프로젝트다”며 “이 친구들이 2년 있다 하이브 시험을 볼 수도 있는 것이다. 이제는 아이들이 입시처럼 K팝에 들어오고 시스템이 되고 있다. 그걸 피부로 느끼고 있다. 이 친구들을 어떻게 키우고 싶은지 생각을 깊이 고민하고 들어와야하고 우리도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고 전했다.

서혜진 대표의 크레아스튜디오는 ‘한일가왕전’, ‘한일톱텐쇼’로 일본에 진출해 시장을 확장했다. 서 대표는 “한일전까지 끌고 올 때 일본 것을 해서 붙이면 되는 것 아니야? 안 만든 사람 입장에선 쉬워 보이지만, 수없이 많은 일본 플랫폼에 끼우고 수없는 착오를 겪으면서 온 시간과 노력이 쉽지가 않다. 말은 그렇게 할 순 있지만 정작 나와야 나오는 것”이라며 “실체를 만들어야 결과가 있는 거다. 실체가 없으면 의미가 없다”고 털어놨다.

서 대표는 일본의 반응에 대해서도 “추정할만한 데이터가 미미하다. ‘한일가왕전’ 콘서트는 한일 양국 콘서트를 통해 일본 유료 관객들의 데이터를 그때나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며 “이제야 일본 일간지에 실리고 이제 반응이 오고 있어서 남자 편까지 해봐야 성인 가요 시장의 규모나 액수가 나오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이미 국내 시장에서는 안정적인 오디션 시스템을 구축했지만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일본 시장으로 확장했다. 서 대표는 “인구 구조가 노화되고 있는데 일본은 30년 먼저 숙성된 성인가요 시장이 있다. 트롯 오디션이라는 게 이미 있는 성인가요 시장에 뉴페이스, 젊은 가수들, 라이징 스타들이 들어가면서 기존 노래들을 리뉴얼해 들으며 시장이 확장됐다. 일본은 깊고 추억을 하는 연령층, 인구 구조가 숙성화된 시장인데 새로운 라이징스타들이 나왔을 때 반응을 하지 않을까? 우리랑 똑같지 않을까? 생각하고 시도했는데 우리보다 늦고 더디다. 그러나 갈만 하다고 생각을 한다”고 설명했다.

서 대표는 “일본은 숙성된 성인 가요 시장이 있고, 우리나라 가수들이 한번 나가서 영향력을 발휘해본 적이 있다. 그렇다면 그런 시장은 다시 한번은 올 것이라고 생각했다. 실력있는 아티스트에 대한 인정과 니즈가 있다. 일본은 그것이 정해지면 길게 간다. 팬들의 안정성, 충성도가 있다. 그런 두 가지 안정성을 봤다”고 털어놨다.

서 대표는 “일본과 한국에서 보는 것이 다르다고 느낀다. 우리나라는 글로벌 시장까지 진출했듯, 대중의 눈이 계속 높아져서 실력에 대해 가차 없다. 누가 매력이 있어도 실력이 부족하면 용인이 안된다. 대중의 눈높이가 높다. 노래는 뭐 우리 가수들은 어디 내놔도 노래로 밀리진 않는다. 실력으로 밀리진 않는다”며 “일본은 기술을 많이 쓰거나 기교가 있거나 그러진 않고 깨끗하고 순수한 창법을 좋아한다. 편하게 부르는 사람을 좋아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SBS, TV조선을 거쳐 크레아스튜디오를 설립한 서 대표는 “나이가 많아질수록 남의 돈을 벌어주기가 싫었다. 남의 이름을 빛나게 하는 조연이 되기 싫었고 남의 돈을 벌어주는데 노동을 하기에 내 시간을 쓰기 싫었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서 대표는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눈 앞만 보고 가는 사람이다. 시스템을 만들었으니 ‘한일가왕전’ 남자편까지 묘목까지 키울 예정이다”며 “처음 회사를 차리고 IP가 중요했다. 안정된 플랫폼도 중요했다. 내년까지 기반을 닦는 시간이라고 생각을 한다. 또 여기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른 IP를 확보해서 회사의 IP를 다양하게 하는 것이 두번째 목표”라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