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캐디없이 골프치세요…캐디선택제 5년새 두배 급증

주영로 기자I 2024.05.24 00:05:00

올해 227개소,전체 40.5% 차지
캐디피 팀 당 15만원 넘겨
2010년 9만 5천원에서 51% 폭등
노캐디, 캐디선택제 확산 전망

국내 골프장의 코스 전경. 사진은 특정 기사 내용과 관련없음. (사진=이데일리DB)


[이데일리 스타in 주영로 기자] 캐디피 15만원 시대다. 고물가에 캐디 구인난까지 겹치면서 캐디피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이에 각 골프장들은 캐디없이도 라운드가 가능한 캐디 선택제를 앞다퉈 도입하고 있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소장 서천범)가 최근 발간한 ‘레저백서 2024’에 따르면 노캐디, 마셜캐디, 드라이빙캐디 등 캐디선택제를 도입하는 골프장이 올해 5월 기준으로 227개소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보다 2배가랑 늘어난 수치로 전체 560개소 중 절반에 가까운 40.5%에 달하는 비중이다. 연도별로도 2019년 말 118개소에서 2021년 166개소(이하 5월 기준), 2022년 193개소, 2023년 214개소로 매년 늘어나고 있다. 5년 전인 2019년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는 “코로나19 특수로 그린피 폭등에 캐디피의 꾸준한 상승에 따른 라운드 비용 상승과 캐디 구인난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캐디선택제를 운영하는 227개소 중 9홀 대중형 골프장은 167개소에 달했다. 대중형 골프장 357개소 가운데 46.8%를 차지하는 수치다. 다만 회원제 골프장은 43개소가 주중 회원 등 일부에 한해서만 캐디선택제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영남권이 55개소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수도권 47개소, 충청권 40개소, 호남권 39개소 순이었다.

강원권은 61개소 중 57.4%에 달하는 35개소가 캐디선택제를 운영 중이었다. 비중으로만 따지면 전국 1위에 달하는 수치다. 다음으로는 호남권 52.7%, 충청권 50.0%, 영남권 45.1% 순이었다. 반면 수도권은 25.8%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대도시에 인접해 있어 캐디 수급이 비교적 수월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노캐디제를 전면 도입한 골프장은 대중형이 52개소에 달했다. 대부분은 9홀 규모로 운영 중인 골프장이었다. 야간에 전면 노캐디를 실시하는 골프장도 31개소로 조사됐다. 18홀 이상 골프장 중 노캐디를 시행하고 있는 골프장은 모두 7개소였다. 골프존카운티 영암45CC, 골프존카운티 구미·루나엑스·월송리·힐데스하임·코스모스링스CC 등이다. 군산CC는 81개소중 18홀을 노캐디제로 운영하고 있다.

골프장들이 노캐디제를 도입하는 또 다른 이유는 가성비다. 캐디피를 내지 않는다면 팀당(4인기준) 15만원으로 1인당 약 3만 7000원을 아낄 수 있다. 다만 캐디없이 라운드하려면 거리 측정과 카드 운전 등을 직접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있다. 아직은 국내 골퍼들이 많이 선호하지는 않지만 해외 투어 활성화로 캐디없이 라운드를 해본 경험 있는 골퍼들이 늘면서 국내에서도 점차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국내 골프장은 현재 약 560개소. 여기에 캐디 구인난까지 겹치면서 캐디피는 계속 오르고 있다. 2010년 대중형 골프장 기준 평균 9만5000원(탐당)에서 올해는 14만3800원으로 뛰었다. 무려 51.3%(4만9000원) 폭등한 것이다. 회원제 골프장의 팀당 캐디피도 같은 기간에 51.5% 올라 대부분 15만원 이상 받고 있다.

서천범 한국레저산업연구소 소장은 “캐디피 상승의 원인 중 하나는 구인난이 겹치면서 이직을 막기 위해 골프장에서 캐디피를 올리는 방법을 쓰기 때문”이라며 “캐디 수급난을 덜고 골퍼들의 비용 부담을 줄여 주기 위해서는 노캐디 또는 마샬캐디 등 캐디선택제가 대안이 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