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강자 없는 세계피겨선수권, 김연아 이후 첫 메달 수확할까

이석무 기자I 2023.03.20 06:00:00
김연아 이후 10년 만에 피겨 세계피겨선수권대회 여자 싱글 메달에 도전하는 김채연(왼쪽) 이해인(가운데), 김예림.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스타in 이석무 기자] 한국 피겨스케이팅 남자 싱글 간판 차준환(고려대)과 여자 싱글 김예림(단국대), 이해인(세화여고), 김채연(수리고)이 세계선수권대회 메달 획득에 도전한다.

한국 피겨 대표 선수들은 19일 김포국제공항을 통해 2023 국제빙상경기연맹(ISU) 피겨스케이팅 세계선수권대회가 열리는 일본 사이타마로 출국했다.

여자 싱글 쇼트 프로그램은 22일 오후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에서 열린다. 남자 싱글 쇼트는 23일 같은 장소에서 진행된다. 피겨스케이팅 세계선수권대회는 1년에 한 번씩 열린다. 올림픽 만큼이나 권위를 인정받는다.

한국 피겨 선수가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메달을 따낸 것은 여자 싱글 김연아(금2 은2 동2)가 유일하다. 김연아가 마지막으로 메달을 목에 건 것이 2013년 대회에서 차지한 금메달이었다. 그 이후 한 명도 시상대에 오르지 못했다.

올해는 김연아 이후 첫 메달리스트를 기대해도 좋다. 여자 싱글 메달에서 메달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 여자 싱글 최강국 러시아가 올해 세계선수권대회도 출전하지 못한다. 한국 선수들에게 더 많은 기회가 열렸다.

이해인은 지난 달 미국에서 열린 ISU 4대륙선수권대회에서 210.84점을 받아 김연아 이후 14년 만에 우승을 차지했다. 김예림은 이 대회에서 209.29점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김채연도 202.39점으로 4위에 오르며 가능성을 보여줬다. 이들 세 명 기량은 종이 한 장 차이다. 당일 컨디션과 사소한 실수에 따라 순위가 가려질 전망이다.

가장 강력한 경쟁자는 일본의 사카모토 가오리다.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동메달리스트이자 지난해 세계선수권대회 금메달리스트다. 지난해 세계선수권대회 은메달리스트인 루나 헨드릭스(벨기에), 2022~23 ISU 그랑프리 파이널 우승자인 미하라 마이(일본) 등도 주목할 선수다.

남자 싱글 간판 차준환은 지난해 세계선수권대회 악몽을 씻겠다는 각오다. 차준환은 지난해 대회에서 부츠 문제로 쇼트프로그램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인 뒤 프리스케이팅 출전을 포기했다.

올 시즌도 만족스럽지 못했다. 두 차례 그랑프리 대회에 참가했지만 동메달 2개를 획득하는데 그쳤다. 파이널 무대에 오르지 못했다. 2연패에 도전했던 4대륙선수권대회에선 4위에 머물렀다.

남자 싱글 경쟁은 여자 싱글보다 훨씬 뜨겁다. 지난해 이 대회에서 우승한 우노 쇼마(일본)가 강력한 우승 후보다. 올 시즌 그랑프리 파이널 은메달리스트 야마모토 소타(일본), 세계 최초로 쿼드러플 악셀을 뛴 일리아 말리닌(미국) 등도 만만치 않은 경쟁자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