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하버드 역사전공 교수들 “램지어, 최악의 학문적 진실성 위반”

권오석 기자I 2021.02.18 22:33:29

“위안부 피해자가 체결한 실제 계약 한 건도 찾아보지 않아"

[이데일리 권오석 기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자발적 매춘부’라고 주장한 존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를 향해 같은 학교 교수들이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존 마크 램지어 교수 (사진=하버드 로스쿨 공식 유튜브 영상 캡처)
17일(현지시간) 하버드대 동아시아언어문화학과 카터 에커트 교수와 역사학과 앤드루 고든 교수는 성명을 통해, 국제법경제리뷰라는 학술지 3월호에 실릴 램지어 교수의 논문 ’태평양 전쟁에서 성매매 계약’에 학문적 진실성에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에커트 교수는 한국사, 고든 교수는 일본 근대사가 주전공이다.

이들은 학술지 편집장 요청으로 램지어 교수 논문을 검토했다면서 논문의 문제를 조목조목 짚어냈다.

이들에 따르면 램지어 교수 논문은 1938년부터 1945년 사이 위안부 피해자들이 맺은 계약과 전쟁 전 일본과 식민지 조선에서 통상적으로 이뤄지던 합법화한 매춘계약을 비교한 것에 기반했는데, 정작 위안부 피해자가 실제 맺은 계약을 확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교수는 “램지어 교수 인용문들을 추적해본 결과 우리는 물론이고 다른 학자들도 그가 위안부 피해자나 그 가족이 모집책이나 위안소와 체결한 실제 계약을 단 한 건도 찾아보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일본 정부나 군이 지침으로 내려준 표본 계약서도 찾아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며, 램지어 교수가 활용한 문건 중 하나는 중국 상하이(上海) 위안소에서 바텐더로 일하는 일본인 여성용 표본 계약서였다고 지적했다. 이어 “읽지도 않은 계약에 대해 극히 강한 표현을 사용하며 믿을만한 주장들을 만들어냈는지 알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외에도 교수들은 램지어 교수의 논문에 한국인 위안부 피해자와 관련한 문서화된 제3자의 진술이나 구술증언도 사실상 없다고 꼬집었다. 여기에, 계약서도 일본 여성들이 2년 간 위안소에서 일하겠다고 명시한 표본이라고 교수들은 부연했다.

이들 교수는 위안부 피해자에게 적용된 계약서를 보지도 않고 관련 인용이 부족한 것이 램지어 교수 논문에서 확인된 ‘최악의 학문적 진실성 위반’이라면서도, ‘주장과 완전히 무관한 인용’과 ‘주장에 반대되는 증거를 배제하기 위한 선택적 문건 활용’ 등 중대한 문제들이 아주 많았다고도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