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통화스와프 ‘전격 타결’…홍남기, 내일 외신 간담회

최훈길 기자I 2020.03.19 22:52:38

600억 달러, 6개월 체결
한은 “외환시장 안정화 효과”
기재부 “韓 경제대책 설명할 것”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1차 비상경제회의에서 “경제 난국을 헤쳐 나가려면 더 많은 대책이 필요하다”며 “무엇보다 신속하게 결정하고 과감하게 행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회의에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은성수 금융위원장,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뉴시스 제공
[세종=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외화 안전판’인 한미 통화스와프가 체결됐다. 달러 사재기로 환율이 폭등하고 외환시장에 위기감이 확산하자 선제적 대응에 나서기로 한 것이다.

한국은행과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는 19일 밤 10시(한국시각) 600억달러 규모의 양자간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연준은 한국 외에도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호주, 뉴질랜드, 브라질, 멕시코 중앙은행 및 싱가포르 통화청과도 동시에 스와프 계약을 체결한다고 발표했다. 스와프 계약 기간은 최소 6개월(9월19일)이다.

앞으로도 한은은 주요국 중앙은행들과의 공조를 통해 금융시장 안정화 노력을 지속하기로 했다. 한은은 “최근 급격히 악화된 글로벌 달러자금 시장의 경색 해소를 목적으로 한다”며 “통화스와프를 통해 조달한 미 달러화를 곧바로 공급할 계획이다. 이는 최근 달러화 수급 불균형으로 환율 급상승을 보이고 있는 국내 외환시장 안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지난 15일 “금융시장이 더는 훼손되지 않도록 협력해야 한다”며 2008년 금융위기 때와 유사한 조치에 협력할 것을 촉구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금융위기 때처럼 한국·호주 등과 통화스와프를 다시 맺을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미국은 2008년 9월18일(이하 현지시간) 캐나다·영국·일본, 24일 노르웨이·덴마크·스웨덴·호주, 28일 뉴질랜드에 이어 10월30일(이하 한국시간) 한국·멕시코·브라질·싱가포르와 통화스와프를 체결했다. 당시 기재부·한국은행은 금융위기 단초가 된 리먼브러더스 파산 이후 1달여 만에 극적 타결을 이끌어냈다. 이번에는 논의가 촉발된 지 1달도 채 안 돼 체결됐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한은과 한미 스와프 체결 과정에서 꾸준히 협의를 해왔다”며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내일 외신 간담회를 열고 한국경제 상황, 코로나19 경제대책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20일 오후 2시 정부서울청사에서 외신 간담회를 열 예정이다.

김준경 한국개발연구원(KDI) 전 원장은 “우리나라의 외환 보유고 등 펀더멘털(기초체력)이 튼튼하지만 지금은 세계경제가 전대미문의 불확실성을 겪는 상황”이라며 “한미 통화스와프가 금융시장의 불안을 해소하고 시장에 신뢰를 주는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통화스와프=서로 다른 통화(화폐)를 사전에 약정된 환율에 따라 교환(swap)하는 외환 거래다. 두 나라 간 중앙은행 간 체결한다. 외화가 바닥나는 등 유동성 문제가 발생했을 때 자국 통화를 상대국에 맡기고 외화를 가져올 수 있다. 외환 추가 확보와 함께 국제사회의 우려도 덜 수 있어 ‘외화 안전판’으로 불린다.

우리나라는 캐나다·스위스·중국·호주·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아랍 에미리트(UAE) 등 7개국과 양자 간 통화스와프를, 아세안 등 13개국과 다자 간 통화스와프를 맺은 상황이다. 미국과는 2010년에, 일본과는 2015년에 통화스와프 체결이 종료됐다. 미국은 캐나다·스위스·영국·일본·유럽연합(EU) 등과 통화스와프를 맺고 있다.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M)는 아세안(ASEAN)+3(한중일) 회원국의 역내 다자 간 통화스와프를 뜻한다.[출처=한국은행, 기획재정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