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커지는 AI공포’…위기경보단계 ‘경계→심각’ 상향(종합)

김상윤 기자I 2016.12.15 17:35:27

AI로 심각 단계는 처음
중앙사고수습본부 가동
모든 시도에 소독시설 설치

천안 닭·오리농장 3곳 AI 의심 신고가 들어온 15일 천안 삼거리에 설치된 검점 소독시설에서 방역 관계자들이 차량 소독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세종=이데일리 김상윤 기자]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이 계속되면서 정부가 AI 위기경보를 ‘경계’에서 ‘심각’으로 한 단계 상향했다. AI와 관련해 위기경보단계가 심각 단계로 격상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5일 오후 식품산업정책실장 주재로 가축방역심의회를 열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가축방역심의위원회가 위기단계를 상향한 것은 경기, 충남, 충북, 전남, 전북 등을 중심으로 AI가 계속 발생하고 있고 지역 간 수평전파가 확인됐기 때문이다. 아직은 안전지대인 영남지역도 AI 발생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

AI 위기경보가 ‘경계’에서 ‘심각’ 단계로 격상되면 그동안 농식품부 중심의 가축질병방역대책본부는 범정부 차원의 중앙사고수습본부로 격상된다. 또 AI 발생 시·도 및 인접 시·도에만 적용된 소독시설 설치 의무가 모든 시·도와 주요 도로로 확대된다. 필요시 전통가축시장, 도축장, 도계장 등 모든 가금류 관련시설을 폐쇄하거나 긴급 백신접종도 검토할 수 있다.

실제 도살 처분된 가금류 수가 1500만마리를 넘어설 정도로 피해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15일 0시 기준으로 확진 및 예방차원에서 도살 처분된 가금류는 1140만1000마리로, 403만8000마리도 추가로 도살 처분될 예정이다. 이는 역대 AI 피해 규모를 넘어섰다. AI피해가 가장 컸던 지난 2014년에는 195일 동안 1396만마리가 도살된 것을 감안하면 규모나 속도면에서 훨씬 위협적이다.

특히 도살 처분된 산란계(알 낳는 닭)는 817만9000마리다. 전체 산란계의 11.7%가 도살되면서 계란 수급 차질도 빚어지고 있다. 이미 대형마트들은 지난주에 이어 계란 가격을 4~5% 다시 인상하고 나서면서 서민들의 시름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고기용 닭인 육계의 피해는 43만8000마리로 전체의 0.6%에 불과해 당장 닭고기 수급에는 큰 영향이 없다. 다만 산란계 피해가 커서 그 여파가 장기적으로 이어져 수요에 따라 가격 폭등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정부는 축산 농가에 대한 방역과 살처분 조치를 강화하는 등 대책에 나서고 있지만 정부가 제때 대응을 못하고 확산을 방치했다는 비판도 거세지고 있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충남 천안시에서 열린 ‘AI 방역대책 보고회’에 참석해 “정부의 늑장대응과 안일한 대처가 심각한 문제“라면서 “AI 책임을 지자체와 농가에 전가하는 행태는 즉각 시정되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고병원성 AI 확산

- `벌써 900명`…A형간염 확산 조짐, 20~40대 `위험군` - `흰색 달걀 못 보나`…고병원성 AI에 미국산 계란 수입 전면 금지 - `AI 또 비상`…전북 고창서 10일새 3건 발생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