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걸어다니는 대기업’ BTS…국내 생산유발효과 연 4.1조

김형욱 기자I 2018.12.18 21:05:24

현대硏 ‘BTS의 경제적 효과’ 보고서
구글 트렌드 토대로 수치화
외국인 관광객 7.6% BTS 영향
"상품 수출 이어질 수 있는 마케팅 전략 필요"

그룹 방탄소년단이 지난 14일 홍콩 아시아 월드 엑스포 아레나에서 열린 2018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즈(MAMA)에서 ‘올해의 가수상’ 수상 후 소감을 말하고 있다. CJ ENM 제공
[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방탄소년단(BTS)의 국내 생산 유발 효과가 연 4조원이 넘는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8일 ‘BTS의 경제적 효과’ 보고서에서 BTS의 생산 유발 효과를 연평균 약 4조1400억원이라고 추산했다. 또 간접적인 부가가치 유발 효과도 1조4300억원으로 분석했다.

국내 생산 유발 효과란 특정 산업의 생산이 직·간접적으로 유발한 국내 생산의 총량이다. BTS의 공연 수익은 물론 BTS와 관련한 ‘굿즈’(상품), BTS를 보러 온 관광객 효과까지 아우르는 개념이다.

직접 매출이 아닌 만큼 비교는 어렵지만 웬만한 대기업의 연매출에 버금가는 숫자다. 쌍용자동차의 지난해 연간 매출액은 3조4946억원이었다. 또 2016년 중견기업의 평균 매출액이 1591억원이란 걸 고려하면 BTS의 생산 유발 효과가 26배나 큰 것이다.

보고서는 BTS가 데뷔한 2013년 이후 매년 평균 79만6000명의 외국인 관광객이 BTS의 영향으로 한국을 찾았다. 지난해 기준으론 전체 외국인 관광객의 7.6%다.

또 BTS 관련 의복류 수출이 연평균 2억3398만달러, 화장품이 4억2664만달러, 음식류가 4억5649만달러로 총 11억1700달러였다.

연구원은 BTS의 인기를 구글 트렌드 검색량으로 계량화해 이 같은 수치를 산출했다. 또 이를 통해 BTS의 인지도가 1포인트(p) 오를 때 해당 월 의복류 수출 증가율은 0.18%p, 화장품은 0.72%p, 음식류는 0.45%p가 오르는 효과가 있다고 분석했다. BTS의 광고나 소셜 네트워크(SNS) 노출 소비재에 대한 외국인 소비가 그만큼 늘어난다는 것이다.

연구원은 이 같은 근거를 토대로 2014년부터 2023년까지 10년 동안 BTS가 가져올 총 경제적 효과를 41조8600억원, 간접적인 부가가치를 더하면 14조3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BTS가 앞으로 4~5년 동안 현 수준의 인기를 유지한다는 걸 전제로 한 계산이다.

보고서를 쓴 정민 연구위원, 오준범 선임연구원, 신유란·류승희 연구원은 “문화산업 전반으로 한류가 확산할 수 있는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문화 수출이 상품 수출로 이어질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