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코로나 영향에 지난해 집에서 '흡연'·'음주' 청소년 늘어

양희동 기자I 2022.04.28 18:28:21

질병청 28일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통계 발간
전국 중·고교생 조사…흡연율 男 6% 女 2.9%
음주율 男 12.4%, 女 8.9%…장소는 집 85.9%
마스크 착용에 편의점서 술·담배 사기도 쉬워져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지난해 청소년들의 흡연 장소가 놀이터 등 야외라고 답한 비율이 줄고, 자기 집이나 친구 집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술도 85% 이상이 자기 집이나 친구 집에서 마셨다고 답했다. 그러나 흡연율이나 음주율은 남학생은 각각 6%, 12%, 여학생은 3%, 9% 수준으로 전년과 비슷했다. 10년 전인 2011년과 비교하면 흡연율과 음주율이 보다 절반 이하 수준으로 낮아졌다.

청소년들은 편의점에서 술이나 담배를 사기가 더 쉬워졌다고 답하기도 했다. 마스크 착용으로 얼굴 확인이 어려워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질병관리청은 28일 ‘제17차(2021)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통계’를 발간해 우리나라 청소년의 건강행태에 대한 최근 통계를 공개했다. 청소년건강행태조사는 지난 2005년부터 매년 전국 중·고등학생 5만 4849명을 대상으로 건강행태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학교 보건정책 수립 및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코로나19 상황에서 표본학교와 협조해 방역수칙 준수 하에 조사하였으며, 3년 주기 순환조사로 흡연, 음주 영역을 심층 조사했다.

이번 조사에서 청소년(중1~고3) 흡연과 음주 행태는 2020년 결과와 큰 차이가 없었다.

흡연율(일반담배·궐련)은 2021년 결과 남학생 6.0%, 여학생 2.9%로 전년과 유사했지만, 전자담배(액상형) 현재 사용률은 다소 증가했다.

액상형은 남학생 2.7%→3.7%, 여학생 1.1%→1.9%로 각각 증가했고, 권련형은 남학생 1.6%→1.8%, 여학생 0.5%→0.8%로 각각 늘었다.

음주율은 남학생 12.4%, 여학생 8.9%로 전년과 비슷했고, 1회 평균 음주량이 중등도(남자 소주 5잔·여자 3잔) 이상인 위험 음주율도 남학생 5.6%→5.3%, 여학생 4.8%→4.4%로 소폭 감소했지만 유사했다.

편의점이나 가게 등에서 담배 또는 술 구매를 시도한 학생 중 살 수 있었던 구매 용이성은 2020년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담배는 67.0%→74.8%, 술은 63.5%→71.3% 등이었다. 특히 중학생은 담배 39.4%→55.1%, 술 36.1%→48.5% 등으로 10% 포인트 이상 크게 증가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집과 친구 집 등에서 흡연이나 음주를 하는 경우도 크게 늘었다.

흡연은 1순위가 놀이터·공터·야산·공원·길거리 등이 58.9%로 2018년(61.5%) 대비 소폭 줄었지만 2순위는 집·친구 집 등이 19.3%로 2018년 12.8%보다 증가했다. 2018년에는 PC방·비디오방·노래방(16.6%)가 2순위였다.

음주는 1순위가 집·친구 집 등으로 같은기간 77.5%→85.9%로 8.4%포인트 늘었고, 2순위인 놀이터·공터·야산·공원·길거리 등이 33.7%→27.3%로 6.4%포인트 줄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