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홍남기 “고용창출력 약화, 상생형 지역일자리로 돌파구 찾을 것”

김형욱 기자I 2019.02.21 18:06:25

정부,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 확산 방안 발표
상반기 중 2~3곳 추가 선정…군산·구미 거론
성윤모 “광주 안착과 타 지역 확산 위해 총력”

홍남기(왼쪽 오른쪽 2번째부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 확산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기재부 제공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최근 우리 사회의 고용창출력 약화를 광주형 일자리 같은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 확산으로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홍남기 부총리는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 확산 방안 발표에서 “광주형 일자리 같은 상생형 지역일자리는 고용창출력이 약화하고 있는 우리 경제의 새로운 돌파구”라고 말했다.

그는 고용창출력 약화 배경으로 기술진보에 따른 일자리수요 감소, 주력산업의 경쟁력 약화, 신성장동력 발굴 지연을 꼽았다.

그는 “국민이 체감하는 고용상황은 지표에서 보이는 것보다 더욱 어렵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면서 “노사 간 양보와 타협, 시민사회의 참여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고, 사회적 대타협의 촉진제도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광주 지역의 노·사·시민사회·지자체 간 양보와 타협으로 23년 만에 국내 완성차 공장 건립이라는 결실을 보았고 1만1000개의 일자리라는 값진 희망이 생겼다”면서 “최근 다른 지역에서도 관심이 높아져 제2, 제3의 광주형 일자리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상생형 지역일자리 사업, 이른바 광주형 일자리는 노·사·민·정 합의로 기업의 지역 투자를 촉진해 지역 일자리를 늘리는 취지의 사업이다. 기업은 상대적으로 저임금에 근로자를 고용할 수 있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지자체)는 기업 투자지원과 근로자의 복리·후생 지원으로 ‘윈-윈’을 모색한다.

광주광역시와 정부는 지난 1월31일 이 사업을 통해 연 10만대 규모의 현대자동차(005380) 경차 신공장 설립을 이끌어냈다.

정부는 올 1분기 내 이를 위한 법안 발의와 행정 조치를 마치고 상반기 중 2~3곳을 추가 선정해 노사민정 합의를 추진할 계획이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역시 이 자리에서 “광주형 일자리 사업 성공 안착과 타 지역 확산을 위해 관계부처와 함께 온 힘을 기울일 것”이라며 “양보와 협력이란 대타협 핵심 가치가 사회 전반으로 퍼져 저성장·양극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