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MZ공무원 맹활약, 스스로 파손도로 관리 AI 만들어 디지털 지방정부 구현

김지완 기자I 2023.11.01 21:52:07

행안부, 2일 '디지털 지방정부 우수사례 경진대회' 개최
서초구, 부산, 경기, 논산, 익산 등 5건 우수사례 선정

[이데일리 김지완 기자] MZ공무원이 디지털 지방정부 시대 구현에 앞장서 화제다. 전국 각지의 MZ공무원들이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을 직접 제작해 해묵은 행정 난제를 해결했다.

부산광역시청 ‘도로파손 데이터 관리 고도화 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은 도로 파손 데이터의 DB화 및 시각화로 단위 면적당 보수예산을 획기적으로 절감했다.(제공=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는 오는 2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디지털 지방정부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는 지역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공공서비스를 개선한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확산하기 위해 이 같은 대회를 마련했다.

행정안전부는 이번 대회를 위해 지난 9월부터 전국 각 시·도로부터 총 28건의 디지털 기술 도입 행정 사례가 접수됐다. 행안부는 이 가운데 우수사례 5건을 선정했다.

선정된 우수사례 5건을 살펴보면, MZ공무원들이 스스로 개발한 지능형 공공서비스가 행정비용 절감을 물론, 디지털 지방정부를 구현했다는 평가다.

대표적으로 부산광역시의 한 공무원은 그동안 수기로 작성하던 도로파손 관리에 AI, 빅데이터 등의 기술을 도입했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지도에 파손기록, GPS 좌표, 보수 전후 사진, 기상 데이터 등을 통합해 입체적 도로 유지보수 관리가 가능하도록 했다. 부산시는 시스템 도입으로 단위 면적당 보수예산 절감했고, 도로 서비스 성능 개선을 이뤘다. 아울러 도로파손 관련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인사 등의 인력순환 배치에도 업무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이 외에도 서울 서초구에선 스마트폰을 이용해 79종의 민원서식을 전자민원서식으로 전환했다. 민원인이 QR 코드를 스캔하면 창구담당자에게 전산화된 민원서식이 생성된다. 경기도청 공무원은 마이데이터를 이용해 디지털 도민카드를 만들어냈다. 공공시설, 공영주차 등에서 인증과 할인 등의 절차를 간소화했다.

충남 논산에선 통신사 기지국, CCTV 영상, 교통데이터 등을 통합해 혼잡도 모니터링 서비스를 만들어냈다. 지역 축제 시 선제적 행정으로 교통난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됐다. 전북 익산에선 ICT를 활용해 디지털 농촌물류시스템을 구축했다.

행정안전부는 “결선 심사에 진출한 5개 사례는 주민 체감도가 높고 전국 확산 가능성이 높다”면서 “이들 사례는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행정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이날 행안부는 최종 심사를 통해 대상 1명, 최우수상 1명, 우수상 3명 등을 결정할 예정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