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백악관-美IT공룡들 손잡았다

김나경 기자I 2020.03.16 18:55:24

코로나19 사태 심각해지자 공조체제 강화
트럼프 대통령과 껄끄러운 제프 베조스도 참여
구글 만든 검사안내 시스템에 트럼프 "조속히 전국 확대"

[이데일리 김나경 인턴기자] 미국 내 코로나19 사태가 심각해지면서 실리콘밸리 기업들이 전면에 나서 정보기술(IT)을 통해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이들은 코로나19 관련 가짜뉴스를 없애고 미국인들이 신속하게 검사·치료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고,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를 개발하는 기술 기업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는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페이스북·알파벳·마이크로소프트(MS)·아마존 등 미국 기술기업(IT) 임직원 45명은 15일(현지시간) 백악관 관계자들과 만나 코로나19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백악관 측에서는 마이클 크랫시오스 백악관 최고기술책임자(CTO) 등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회의에서는 ‘시민들이 병원 방문 없이 검사를 받는 방법’과 ‘IT기업과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공조 계획’ 등이 최우선 안건으로 다뤄졌다.

실리콘밸리 기업들은 2주 전부터 기술·연구 대응팀을 발족해 코로나19 대책을 세워왔다. 바이러스 확산 속도, 향후 필요한 병상 수 등의 정보를 분석하는 식이었다.

하지만 최근 미국 내 코로나19 확산 속도가 눈에 띄게 빨라지면서 백악관과도 공조를 강화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다소 껄끄러운 관계로 알려진 제프 베조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조차 지금은 백악관 실무진과 수시로 연락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구글은 자회사 베릴리를 중심으로 캘리포니아 주정부와 협력해 코로나19 검사 안내 웹사이트를 준비하고 있다. 캘리포니아 주민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해 검체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검진 병원을 안내하는 서비스다.

이 시스템은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요 기업 관계자들과 함께한 회의에서 나온 아이디어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 시스템을 미국 전역으로 이른 시일 내 확대하고 싶다고 밝혔다.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자금 모집에도 실리콘밸리는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벤처 육성기관으로 유명한 샘 알트만 와이콤비네이터 최고경영자(CEO)는 백신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소셜미디어를 통해 해당 스타트업의 목록을 공유했다. 실리콘밸리 슈퍼 엔젤 투자자 론 콘웨이는 2주 만에 코로나19 관련 연구비용 500만달러를 모금하기도 했다.

△ 코로나19 확산에 실리콘밸리 기업들도 재택 근무를 실시, 12일(현지시간) 실리콘밸리 셔틀버스 정류장이 텅 비어있다. 실리콘밸리 기업들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미 정부에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단 뜻을 밝혔다. [사진제공=AFP]


`코로나19` 비상

- 전국 교정 시설 코로나 누적 확진자 1238명…동부구치소 10명 추가 - “담배 피우고 싶어”…코로나 격리 군인, 3층서 탈출하다 추락 - 주 평균 확진자 632명, 거리두기 완화 기대 커졌지만…BTJ열방센터 등 '변수'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