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세종대 권오진교수 연구팀, ‘디지털 이미지 원본증명용 국제표준 기술' 개발

오희나 기자I 2020.08.31 16:36:31
[이데일리 오희나 기자] 세종대학교는 전자정보통신공학과 권오진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jpg 이미지에 대한 원본증명용 기술이 국제표준기술로 채택됐다고 31일 밝혔다.

권오진 세종대 교수. 세종대 제공
최근 페이크 뉴스에서 사용되는 가짜 사진, 타인에 대한 악의적 조작 사진 유포 행위 등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위변조는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들 사진의 대부분은 jpg 파일 형태로 유통되는데 이번에 개발된 기술로 위변조된 jpg 이미지들이 원본이 아님을 증명할 수 있게 됐다.

연구팀은 디지털 시그니처 기술과 워터마킹 기술을 동시에 jpg 이미지에 적용하는 것을 JPEG 국제표준화기구에 제안해 JPEG Privacy & Security(ISO/IEC 19566-4)라는 이름의 국제표준으로 채택됐다.

그간 디지털 이미지의 원본증명을 위한 시그니처 기술과 워터마킹 기술에 대한 많은 논문이 출판됐고 몇몇 회사들의 상용화 제품도 출시됐지만 각기 다른 기술들 간의 호환성 결여로 인해 그 기술 확산에 한계가 있었다.

이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jpg 이미지에 대한 국제표준이 제정돼 이 호환성 결여 문제가 해결된 것이다.

권 교수는 “대중들에게 영향력이 큰 인터넷 사이트 운영자들이 자발적으로 원본증명 기술을 사용했으면 좋겠다”면서 “원본증명 기술을 통해 이미지 위조와 변조에 의한 사회적 문제가 해소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현재 교내 연구비와 국내 카메라 업체의 지원을 받아 카메라에 본 기술을 내장해 이미지의 탄생 시점부터 원본 증명이 가능하도록 하는 카메라를 개발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를 JPEG 국제표준화기구에 제공해 무료로 배포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혁신사업(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국내외 특허 출원됐고 핵심 알고리즘은 전기·전자 분야 국제학술지인 ‘IEEE Access’에 게재됐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