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손혜원·김현철·김경수까지…잇단 악재에 고민 깊어지는 文

원다연 기자I 2019.01.31 15:32:20

손혜원 의혹·김현철 설화 이어 김경수 구속까지
설 연휴 앞두고 잇단 악재에 文대통령 고심
野 "文대통령 수사해야" 공세 수위 높여
3주째 하락세 지지율, 향후 하락폭 더 커질듯

문재인 대통령이 31일 오후 광주광역시 서구 광주시청에서 열린 ‘광주형 일자리’ 투자 협약식에 입장하고 있다. 왼쪽은 이원희 현대차 대표이사.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설 연휴를 앞두고 청와대를 둘러싼 잇단 악재에 문재인 대통령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문 대통령은 민생행보를 이어가며 설 밥상머리 민심에 미칠 향배를 주시하고 있다.

청와대는 31일 김경수 경남지사의 전날 ‘드루킹 댓글조작 공모 혐의’에 대한 법정구속 판결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청와대는 전날 김의겸 대변인을 통해 “김경수 경남지사 판결은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판결이다. 최종 판결까지 차분하게 지켜보겠다”는 짧은 입장만 밝힌 채 침묵을 이어간 것이다.

올 들어 청와대를 둘러싼 악재는 지난 15일 손혜원 의원의 목포 부동산 투기 의혹에서부터 시작됐다. 야당은 손 의원이 김정숙 여사와 숙명여중·고교 동창이라는 점을 들어 손 의원 의혹을 “초권력형 비리”로 규정하고 청와대를 겨냥했다. 청와대는 이에 대해 “초현실적 상상력”이라고 맞받고 “당에서 판단할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손 의원이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고 일단락되는 듯 했던 악재는 보좌관의 설화로 이어졌다.

김현철 전 청와대 경제보좌관의 지난 28일 ‘국민 무시’ 논란을 일으킨 발언이다. 신남방정책위원회 위원장을 겸임한 김 전 보좌관이 CEO 초청 간담회에서 “‘헬조선’이라고 하지말고 아세안에 가면 ‘해피조선’일 것”, “5060세대는 SNS에 험악한 댓글만 달지 말고 아세안으로 가야한다”는 등의 발언한 것이 박근혜 전 대통령이 청년들에게 “중동으로 가라”고 했던 발언과 비교되면서 논란이 확산됐다. 정부의 경제정책 실패와 구조적 문제를 외면한 채 국민들에 각자도생하라는 인식을 내비쳤다는 지적이다. 문 대통령은 이같은 논란 확산에 이례적으로 김 전 보좌관의 사표를 29일 즉각 수리하며 민심 수습에 나섰다.

그러나 이같은 수습이 무색하게 지난 30일 김경수 지사의 구속이라는 초대형 악재가 이어졌다. 김 지사는 드루킹 댓글조작 공모 혐의 1심 재판에서 유죄가 인정돼 2년 실형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됐다. 노무현 전 대통령을 마지막으로 보좌했던 김경수 지사는 지난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 대변인, 수행팀장을 지낸 문 대통령의 복심으로 꼽힌다. 김 지사의 구속은 자칫 문 대통령의 정통성 시비로까지 비화될 수 있다. 김 지사의 구속 직후 당장 야권에서는 “문 대통령이 김 지사의 댓글 조작을 알고 있었는지 밝혀야 한다”, “정권 탄생의 근본을 돌아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에 대해 “터무니없는 말”이라고 일축했지만 야당은 이날 문재인 대통령을 향한 수사를 주장하는 등 공세 수위를 높여갔다.

특히 설 연휴를 앞두고 이같은 악재들이 밥상머리에 올라 향후 민심의 향배를 가를 수 있다는 점에서 문 대통령의 고심은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당장 이주 문 대통령의 국정지지도는 김 지사 구속 여파를 받으며 3주째 하락세를 이어갔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TBS 의뢰로 지난 28~30일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150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표본오차 95% 신뢰수준 ±2.5%p)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1월 5주차 주간집계 국정지지도는 전주보다 0.2%p 내린 47.5%(매우 잘함 23.4%, 잘하는 편 24.1%)로 나타났다. 특히 긍정평가와 부정평가의 격차도 0.3%p 초박빙으로 좁혀졌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