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단협에서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 △전년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상여금 900% 지급 △주 4.5일제(금요일 4시간 단축 근무) △정년 60세→64세 연장 △퇴직금 누진제 등 요구안을 제시했다.
양측은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6년간 파업 없는 무분규 타결 기록을 세워왔다. 그러나 6월 대선이 맞물리면서 올해는 상견례도 작년보다 한 달 여가량 늦어졌다. 특히 상견례 직전 이재명 정부가 출범했고 정년 연장, 주 4.5일제 도입이 핵심 쟁점 카드로 떠오르면서 ‘7년 연속 무분규 타결’이 위태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
이는 작년 사상 최대 실적 달성에도 미국 정부의 수입 자동차 관세 부과에 따라 커다란 리스크에 직면한 사측에 부담이다. 최근 한국경제인협회가 국내 수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현 관세 정책이 지속할 경우, 올해 전체 수출액이 전년 대비 평균 4.9%, 자동차·부품은 7.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전기차 수요 정체 장기화도 문제다. 현대차는 지난 2월, 4월에 이어 5월에도 아이오닉 5와 코나 일렉트릭을 생산하는 울산 전기차 라인 가동을 일시 중단했다. 국내외 전기차 판매가 감소하면서 내린 조치다. 1~4월 아이오닉 5의 해외 판매량은 9663대로 전년 대비 65% 급감했다.
이러한 가운데 노조가 과도한 요구를 한다면 수출 효자 종목인 완성차의 경쟁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 재계 관계자는 “금요일 근무 단축 시 금요일 오후에 일을 하면 휴일 수당을 지급해야 한다”며 “경영 환경에 먹구름이 낀 회사 입장에서는 엄청난 부담일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올해 주 4.5일제 및 정년연장 등 첨예한 이슈가 있지만 이는 단순히 현대차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차원 노·사·정 논의를 통해 해결할 일”이라며 “다만 현대차 노조의 과도한 성과급 요구 등은 1·2차 협력사들에 심각한 박탈감을 줄 수 있어 우려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