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만명분 코로나 백신 공급, 어떻게 이뤄지나

정다슬 기자I 2020.09.22 18:39:19

코로나19 백신 공동구매 프로젝트 '코백스 퍼실리티'
현재까지 64개국 고소득 국가 92개 중·저소득 국가 참여
미·중·러시아 등은 참여 안해

10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간호사가 러시아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위해 간호사가 준비하고 있다. [사진=AFP 제공]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정부가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를 통해 1000만명분의 코로나19 백신 조달하겠다고 밝혔다.

코백스 퍼실리티란 쉽게 말해, 백신 공동구매 매커니즘이다. 참여국들이 내는 돈으로 제약회사와 백신 선(先)구매 계약을 체결하고 이후 개발이 완료되면 백신 공급을 보장받는다.

코백스는 공정한 배분을 통해 우선 참여한 모든 국가에 자국 인구의 20%를 접종하는데 필요한 물량을 나눠준 후 초과분을 공급할 방침이다. 우리 정부가 국민 60%이 접종할 수 있는 백신 3000만명분 중 1000만명분을 코백스를 통해 공급받겠다고 한 것은 이같은 공급구조에 따른 것이다.

백신을 받으려면 코백스에 백신 1회분당 3.5달러씩 선입금해야 한다. 1명분당 1.6달러만 내는 방식도 있지만, 이 경우 여러 제약회사가 개발한 백신 중 어떤 것을 받을 지 선택하지 못하고 세계백신연합(GAVI)가 제공한 백신을 받아야 한다.

정부는 1인당 2회 접종해야 한다는 전제 하에 선입금에 필요한 700억달러 정도의 예산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백신이 개발되면 백신 가격에서 선입금을 제외한 금액을 내면 되는데 현재 코백스가 예상하는 백신 평균 단가는 1회분당 10.55달러다.

정부는 코백스를 통해 백신을 확보하는 것이 개별 제약회사와 협상하는 것보다 훨씬 합리적이라고 보고 있다. 외교부 관계자는 “많은 나라들이 개별 제약사와 구매 계약을 맺어서 백신을 확보하고 있다고 하는데 실상을 들여다보면 우리와 사정은 별반 다르지 않다”며 “일부 선구매 계약을 체결한 국가들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백신의 성공확률이 7%, 임상실험에 돌입하면 20%인데 이 역시 리스크를 짊어진 계약”이라고 말했다.

반면 코백스를 통해 백신을 확보할 경우, 성공한 백신을 구매하는 만큼 개발 실패에 따른 리스크를 훨씬 더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국제 유일의 백신 공급 메커니즘인 코백스를 통해 공급받는 것이 개별 국가가 협상할 때보다 훨씬 더 합리적인 방법으로 백신을 공급받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도 있다.

감염병혁신연합(CEPI) 역시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고 있는 기업들에 개발·연구 자금을 지원하고 있는 만큼, 이번 코백스 참가는 코로나19 백신의 조기 개발 등에도 기여한다는 설명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1일(현지시간) 기준 현재 156개국 국가가 코백스에 참여하고 있다. 이 중 우리나라를 비롯해 고소득 국가 64개국은 개발비가 포함된 선입금을 내고 백신을 확보한다. WHO는 38개 국가가 추가로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나머지 92개 중·저소득 국가는 향후 코백스가 책정한 가격에 따라 저렴하게 코로나19 백신을 공급하는 통로 역할도 한다. 여기에는 북한도 포함됐다.

WHO는 이날 38개 국가가 추가로 가입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 역시 22일(현지시간)부터 열리는 유엔총회에서 코백스 가입을 촉구할 예정이다.

다만 주요국 중 미국, 중국, 러시아, 인도 등은 아직까지 코백스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선진국이 낸 돈으로 백신을 염가에 개도국에 지원하는 것”이라며 “전 세계가 다 연결돼 있는데 개도국, 선진국 나눌 수가 없다. 개도국 방역은 우리를 위한 방역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코로나19` 비상

- 전국 교정 시설 코로나 누적 확진자 1238명…동부구치소 10명 추가 - “담배 피우고 싶어”…코로나 격리 군인, 3층서 탈출하다 추락 - 주 평균 확진자 632명, 거리두기 완화 기대 커졌지만…BTJ열방센터 등 '변수'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