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조명균 “김정은 방중, 우리측과 일정한 교감 있었다”(종합)

김영환 기자I 2019.01.09 18:47:02

"美 전문가 대상으로 남북 이해돕기 위한 계획 협조 중"
"남북 고위급 회담 통해 서울 답방 후속 협의"

조명균 통일부 장관(오른쪽)과 김영춘 해수부 장관이 9일 오후 열린 국회 남북경제협력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대화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9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박4일 일정으로 중국을 방문한 것에 대해 “우리측과 일정한 교감은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남북경제협력특위에 출석해 “구체적으로 (알게 된 시기를) 밝히긴 어렵다”며 “적절한 경로를 통해 사전교감이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과의 대북 소통 방안에 대해서는 구체적 언급을 꺼리면서도 “북한, 미국과 여러 통로를 통해 실무협의 문제 등 직간접적으로 교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미 정상회담 개최를 놓고는 “아직 구체적으로 언제쯤 한다까지 말씀 드릴 단계는 아닌 것으로 파악한다”고 말을 아꼈다. 그러면서 “북미는 여러 경로를 통해 회담 개최 문제와 관련한 실무 협의를 직간접적으로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미국 하원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정책을 견제한다는 지적에는 “올해 워싱턴 의회라든가 전문가들 대상으로 남북관계 이해와 북한에 대한 입장을 재고하기 위한 계획을 외교부 등 관계부처와 협조 중”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이 방중한 이후 지난해 결국 성사되지 못했던 서울 답방이 이뤄질 가능성에는 “북측과 협의해 나가겠다”고 긍정적인 답변을 내놨다.

조 장관은 “작년에도 신년사 발표 후인 1월 9일 고위급 회담을 열어 남북관계 전반을 협의했다”며 “남북 모두 고위급회담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고 답했다.

아울러 김 위원장이 올해 신년사에서 밝힌 개성공단 및 금강산관광 재개에는 “일정한 여건 조건이 필요한다”고 전제를 뒀다. 그는 “상황이 왔을 때 바로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의 문을 열 수 있도록 사전작업을 제재 범위 내에서 해야겠다”고 말했다.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구축에서 중국의 역할도 부인하지 않았다. 조 장관은 이번 김 위원장의 방중이 레버리지를 높이기 위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중국이 일정 부분 참여하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했다. 조 장관은 “(중국의 참여를) 유념하면서 향후 북한 비핵화 문제를 위해 한반도 평화체제를 논의하겠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